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 젠트리피케이션과 강남 개발
Ⅱ. 신사동 가로수길의 사례
Ⅲ. 방배동 사이길의 사례
Ⅳ. 결론 :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의 속도와 폭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의 로컬화 : 네 도시의 대안적 어바니즘과 차이의 생산
로컬리티 인문학
2016 .10
세계화된 도시 서울과 세계화된 개념 ‘젠트리피케이션’ : 신현준·이기웅 외,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푸른숲, 2016)
문화과학
2016 .12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 재생 혹은 개발주의 이후 도시 공간의 모순과 경합
사이間SAI
2015 .11
“젠틀”하지 못한 ‘젠트리피케이션’이 일그러뜨린 서울의 도시 풍경을 읽는다 : 신현준·이기웅(편), 2016,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푸른숲
도시연구
2016 .10
신개발주의와 젠트리피케이션
황해문화
2015 .03
마을공동체의 진화와 젠트리피케이션의 극복-부산 감천문화마을의 경우-
항도부산
2019 .01
젠트리피케이션 효과 : 홍대지역 문화유민의 흐름과 대안적 장소의 형성
도시연구
2015 .10
우리 그런 사람들 아니에요 : ‘강남중산층’ 젠더실천 사례 연구
인문학연구
2023 .12
춘천 지역 핫플레이스의 특성과 미래 지평
강원민속학
2023 .09
삼성과 강남
인물과사상
2017 .03
‘강남화’라는 방법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박배균 외,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투기지향 도시민과 투기성 도시개발의 탄생』, 동녘, 2017.)
도시연구
2019 .10
1980년대 뉴욕 이스트 빌리지 젠트리피케이션과 성소수자들의 ‘성찰적’ 공동체 — 새라 슐만의 <여자들, 꿈, 모든 것>
도시인문학연구
2017 .01
유하 감독의 거리 삼부작에 나타난 공간성 연구 -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비열한 거리〉, 〈강남1970〉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연구
2022 .04
베를린의 ‘새로운 도시 관광’을 둘러싼 갈등과 지역 변화의 역동성
인문콘텐츠
2018 .03
오래된 서울에서 진정한 도시 동네(authentic village) 만들기의 곤란 : 서촌/세종마을의 젠트리피케이션 혹은 복합적 장소형성
도시연구
2015 .10
역류, 막힐 수 있습니다
수필미학
2025 .03
재건축아파트단지에 대한 철학적 접근 - 사회적 생명성의 관점에서
인문학연구
2021 .11
문화예술 기반 도시재생과 계급 문제에 대한 현시대적 함의 ― 부산과 창춘의 사례 분석을 토대로
중국학
2020 .01
디지털 기억과 바쿠의 <마할라 프로젝트>: 노스탤지어와 스펙타클을 넘어
슬라브학보
2023 .12
혐오의 체제와 신자유주의의 감성의 분할
사이間SAI
2024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