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김나영 (이화여자대학교) 김지명 (신한대학교)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강봉수 (유투바이오)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영양학회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6
발행연도
2015.12
수록면
476 - 487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분만 후 5일에서 15일 사이에 분비되는 이행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모유의 전반적인 영양소의 함량을 측정하고, 모유영양아의 하루 섭취량을 추정하여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함으로써 국내 모유영양아의 영양 섭취의 적절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상 만삭아를 출산하고 서울경기 지역 소재 산후조리원에서 회복중인 100명의 산모들이었다. 이들은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참여 동의한 뒤 개인의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모유 샘플을 제공하였다. 수유부들의 나이는 평균 32.01 ± 4.08세였고, 신장은 평균 161.93 ± 4.79 cm, 만삭 체중은 65.92 ± 8.10 kg이었다. 모유 성분 분석 결과 모유내 에너지 농도는 59.99 ± 8.01 kcal/dL, 단백질의 농도는 1.47 ± 0.27 g/dL, 지방의 농도는 2.88 ± 0.89 g/dL, 탄수화물의 농도는 6.72 ± 0.22 g/dL이었다. 지방산의 경우 ω-6 계열의 리놀레산과 아라키돈산의 모유 속 농도는 각각 181.44 ± 96.41 mg/dL, 28.15 ± 8.89 mg/dL이었고, ω-3 계열의 리놀렌산, DHA의 모유 속 농도는 각각 5.67 ± 1.86 mg/dL, 5.74 ± 2.57 mg/dL 로 나타났다. 모유 속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의 농도는 각각 28.95 ± 17.50 μg/L, 23.09 ± 11.16 ng/mL, 7.37 ± 15.43 mg/L이었으며, 비타민 C,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비타민 B<SUB>12</SUB>, 그리고 엽산의 모유 속 농도는 30.22 ± 18.43 mg/L, 75.14 ± 209.61 μg/L, 617.82 ± 267.79 μg/L, 637.74 ± 271.92 pg/mL, 5.16 ± 2.58 ng/mL이었다. 무기질 중 칼슘의 모유 속 농도는 20.71± 3.34 mg/dL, 철의 모유 속 농도는 5.86 ± 8.61 mg/L, 칼륨의 모유 속 농도는 66.71 ± 10.35 mg/dL, 나트륨의 모유 속 농도는 27.72 ± 10.16 mg/dL이었으며, 아연과 구리는 모유 속에 각 0.44 ± 0.41 mg/dL, 70.48 ± 30.41 μg/dL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었다. 면역성분인 IgA의 모유 속 농도는 61.85 ± 31.97 mg/dL, total IgE의 모유 속 농도는 2.35 ± 0.93 IU/mL이었다. 영아의 하루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에너지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1, 엽산, 칼슘의 하루 섭취 추정량은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섭취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단백질,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2, 비타민 B<SUB>12</SUB>, 철, 칼륨, 나트륨, 아연, 구리 등은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 섭취량을 충족하였다. 대부분의 영양소는 추정 섭취량이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여 대체적으로 비슷하였으나 비타민 B₁, 엽산, 칼슘, 비타민 D, 구리 등의 영양소는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모유의 영양성분과 관련 있는 요소를 파악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한국인 모유의 성분함량과 섭취량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는 모유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영아의 성장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94-002253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