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 ‘미래학세미나’가 아닌 엑스포 ’70 한국관에 주목하기
Ⅱ. 엑스포 ’70에 참가와 한국관 설계
Ⅲ. “해프닝”으로서 미래전시실
Ⅳ. 결론 : ‘공업입국’의 기대와 현실 사이에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C-Line Pavilion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12
Urban Pavilion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10
네트워크와 원시성 - 1970년 인간환경계획연구소의 ‘한국 2000년 국토공간구상’
한국예술연구
2021 .09
Clamp Pavilion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10
The City of Light Pavilion in Urban Context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06
1960년대 말 한국미술과 건축에서의 ‘환경’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7 .12
엑스포 한국관에 표현된 한국성에 관한 연구 -밀라노엑스포 한국관을 중심으로-
전시디자인연구
2019 .01
Study on the World Exposition Space Characteristic and Exhibition : Focusing Survey on the Exhibition Preference of the Expo Milano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01
Deconstructivist Pavilion 1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12
Deconstructivist Pavilion 2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6
Paradise _ Container Pavilion for college students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16 .12
르 코르뷔지에의 박람회 파빌리온 건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24 .05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엑스포 전시관의 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2010년 상하이 엑스포 기업관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5 .08
[포커스 전시]《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 기념전》 인터뷰
미술사논단
2024 .06
밀양 영남루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서예학연구
2020 .01
충북지역 정자의 보존현황 및 건축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9 .10
김중업․김수근․김종성의 뮤지엄건축 특성 비교 연구- 특히 지역적 컨텍스트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20 .01
1929년 조선박람회에서 나타난 근대적 경험에 관한 연구- 건축 및 도시적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7 .01
데이터 기반 설계를 활용한 최적 파빌리온 배치 및 적용 설계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01
몸의 공간, 눈의 공간 : 건축가 김수근의 (구) 공간사옥
현대미술사연구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