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복식학회 복식 복식 제37권
발행연도
1998.3
수록면
103 - 118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entral argument of postmodern theory ; provide a central concept about postmodernism for fashion ;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open fashion in the 20th century. Postmodern is used to refer to a body of social theory, a style of aesthetic expression, and the various social practics and economic conditions. In this paper, postmodern theory is interpreted as an anti-aesthetics proposed by Derrida, Lyotard, Baudrillard, and Foster. The key principles and consepts of postmodern theory reflect and restate assumptions of nihilism influenced by the works of Nietzsche, being synonymous with the phrase philosophy of difference. The death of art, the end of progress, the will to the sublime, and the principle of pure difference support postmodern ideas, which could be the framework to interprete fashion phenomenon in postmodern condition.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81-000758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