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복식학회 복식 복식 제65권 제4호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137 - 153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an analytic model for examining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This research developed the analytic model of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adding the specificity of the fashion area to The Systems Model of Creativity by Csikszentmihalyi & Gardener. The analytic model of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is composed of 3 elements: the fashion designer, the fashion domain and the fashion field. The detail factors to be examined by each of the elements are as follows. In the dimension of an individual fashion designer, detail factors influencing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contain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i.e: personality traits, erotic capital)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i.e: family condition, sexual identity, marital status, health). In the dimension of the fashion domain, creativity factors are composed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paradigms. In the dimension of the fashion field, detail factors refer to a mentor, supporter, competitor and a follower.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manifests itself when detail factors of an individual fashion designer, fashion domain and field interact with each other dynamically.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81-000747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