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명리탐』 본문 소개
Ⅲ.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아리스토텔레스 문헌 전승과 《명리탐(名理探)》
교회사학
2020 .01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에 대한 17세기 중국 서문의 출처 : 『명리탐』과 신플라톤학파의 주석 전통
인간·환경·미래
2016 .04
‘명리(名理)’의 ‘명(名)’과 중국선진시기 ‘명가(名家)’의 ‘명(名)’
중국문학
2018 .01
중국에 소개된 서양철학입문 -17세기 예수회선교사들의 저작 및 번역에서-
교회사학
2018 .01
칸트의 선험적 논리학과 라캉의 정신분석적 논리학의 인식론적 전제에 대한 비판과 구조-구성주의 인식론 정초(I)
철학연구
2016 .03
지록위마(指鹿爲馬), 문장의 진리치에 관한 《명리탐》의 침묵에 관한 논변
교회사학
2019 .01
칸트 선험론적 논리학의 이념
철학연구
2017 .03
비고전논리학과 반예외주의
논리연구
2021 .01
『묵자』의 <소취편>에 대한 수리논리학 관점에서의 고찰
동방학
2018 .01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 논리학,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2022 개정 〈논리와 사고〉 교육과정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22 .12
헤겔의 『논리학의 학』에서 본질 개념과 본질논리학의 과제
헤겔연구
2016 .06
증명을 위한 사고의 조합 - 라이프니츠의 논리학적 기획들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9 .0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장 6절의 ‘바르고 필연적인 귀결’
신앙과 학문
2017 .01
편하설(C.F. Berheisel)의 『論理略解』연구:근대전환공간의 최초의 한글 논리학 교과서
현대유럽철학연구
2021 .01
Denken und Sein in der Hegelschen Logik. Gedanken zu Hegel, Kant und Pippin
헤겔연구
2018 .01
베이컨의 Ars Inveniendi(발견의 방법)
철학연구
2021 .05
윌리엄 오캄, 『논리학 대전』 제1부 – 명사(名辭)에 대하여, 박우석, 이재경 역, 서울: 나남, 2017 『논리학대전』 제1부는 어떤 책인가? -중세 논리학과 의미론의 역사를 돌아본다-
중세철학
2017 .01
사고의 분석 - 라이프니츠의 논리학적 기획들을 중심으로 -
철학논집
2019 .01
『論語』에 적용된 體用論理와 陰陽論
동양철학연구
2020 .01
《범주론》에 대한 코임브라 주석서와 신플라톤 주석서의 출처와 활용
교회사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