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구미경 (중앙대학교) 양우현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년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발행연도
2016.4
수록면
125 - 130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a lifestyle and social change, the neighborhood build up around elementary school becomes change. Activities near the school move to the community streets that many facilities are distributed to, while utilization of facilities based on existing theory becomes lower. The study aims to draw a practical neighborhood active center of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order to deduct the active center or range, conduct the survey of value of land, awareness, physical conditions of planned residential area in Seoul. Also to analyze features of practical center of neighborhood, conduct the survey about functionality, accessibility and actual activity. For comparison to existing neighborhood, specific sites are based on school districts stated at Education Offic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neighborhood active center is not limited around elementary school and variously build up by circumstances. It has a significance that we present a question about the traditional theory and also could be references of the future city maintenance in the long term.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생활권과 주거지의 중심
III. 생활권의 중심 분석
IV. 분석 결과와 시사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595-000686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