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오정은 (단국대학교) 이재훈 (단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7권 제4호
발행연도
2016.8
수록면
47 - 58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increasing demand for the living environment to promote social health, this study focused on consumers customized rental housing community space. Set the community spatial planning objectives and strategies shown in previous studies to the conceptual model for evaluation of community space. Based on the planning methods and standards of consumers custom community facilities, we analyzed the Seoul consumer customized public rental housing nine cases. Because almost located in the small vacant lot, they had limitations as a base for the local community. Nevertheles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Child care households increase the chance of contact with the neighbors. In elderly households, welfare facilities strengthen the character of as a base for local community. 1-2 person households situated close to the cultural facilities, by installing a hobby room and gym, was judged to be able to promote the community. Consumer custom rental housing community space evaluation items presented in this study, was set up by analysis of the conceptual model for evaluation of community space and implications of the 9 cases.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커뮤니티 공간평가를 위한 개념모델
III. 수요자 맞춤형 임대주택의 계획지침
IV. 수요자 맞춤형 임대주택단지커뮤니티 공간분석
V. 수요자 맞춤형 임대주택단지의 커뮤니티 공간 평가
VI.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595-00114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