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다큐멘터리적 방식을 통한 현실인식 : <총 맞은 것처럼> 극단 완자무늬, 김태수 연출
환유적 인물들을 통해 바라본 현실 : <아Q정전> 극단 C바이러스, 고해종 연출
은유를 통한 현실인식 : <연극생존백서> 극단 창파, 변영후 연출
우화적 현실인식 : <고백> 극단 주변인들, 서충식 연출
패러디된 거짓된 정치 현실의 부조리 : <가 라 가 라> 극단 노을, 오세곤 연출
패러디를 통해 비틀어 본 위선적 사회 : <잔다르크의 또 다른 죽음: 어느 전설 이야기> 옐로우 브릭 씨어터, 강수진 연출
고전극의 해체를 통한 현실 드러내기 : <오필리어 - 달의 이면> 연극집단 청춘오월당, 전용환 연출
<메데이아 콤플렉스> 극단가변, 이성구 연출
<크랩의 마지막 테이프> 서울연극 앙상블, 황동근 연출
일그러진 소시민의 모습 : <삽질> 극단 미로, 안재범 연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열 살 맞은 현대극페스티벌, 고전을 깨우다
공연과이론
2019 .09
현대극페스티벌 태동에서 현재까지
공연과이론
2016 .09
현대극의 ‘현대’란 무엇인가
공연과이론
2019 .09
현대극페스티벌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공연과이론
2018 .09
현대극페스티벌 공유기(共有記)
공연과이론
2016 .09
[Review] 치난달리 페스티벌 2021
월간 리뷰
2021 .10
2017 현대극페스티벌 : 제8회 현대극페스티벌 단상 - 〈리틀 말콤〉, 〈가취지례〉를 대상으로 : 부실할 수밖에 없는 젊음에 대하여 : <리틀 말콤>
공연과이론
2017 .09
대구 | 2024년 제4회 모두페스티벌
월간 한국연극
2024 .08
[드라마투르그 노트] 공동창작, 공유하고 소통하기 - 현대극페스티벌 참가작 <연극생존백서>
공연과이론
2016 .09
부산 | 제12회 나는 연출이다 페스티벌
월간 한국연극
2024 .08
극단 함께사는세상‘2024 모두페스티벌’
월간 한국연극
2024 .08
[기획노트] 2020 도담도담 페스티벌
공연과이론
2020 .12
[Issue] 시대정신과 동시대성의 빛
아트인컬처
2024 .10
다섯 개의 키워드로 동시대를 읽어내다
공연과이론
2022 .06
조금 거칠어도, 거침없길 : 제1회 서울시청년뮤지컬페스티벌
월간 리뷰
2024 .10
[기획노트] 제5회 ‘소설시장페스티벌’ : 팔아야 한다는 절박함
공연과이론
2022 .03
[기획 노트] 소설시장 페스티벌
공연과이론
2019 .03
페스티벌 전용극장으로 운영하는 이유
공연과이론
2019 .09
[Forum] 2022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 포럼 :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 성취와 과제
월간 리뷰
2022 .12
[Preview] 열흘간 펼쳐지는 서울오페라페스티벌의 화려한 공연 : 2022 서울오페라페스티벌
월간 리뷰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