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그야말로, 혈전(血戰)
대중문화를 찢고 나온 페미니스트: 1990년대 파퓰러 페미니즘의 등장
페미니즘은 ‘기억’이다: 2010년대 파퓰러 페미니즘과 트위터
개저씨 엔터테인먼트 속 가모장과 문명남: 젠더전의 이유
‘퓨리오-숙’의 이후: 대중성과 통속성의 재구성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불편한` 페미니즘, `나쁜` 페미니즘, 그리고 우리 안의 페미니즘 : 페미니즘 대중서 읽기
페미니즘 연구
2016 .10
2000년대 한국 페미니즘 미술의 재해석 : 정은영, 장지아 작품 분석을 통한 페미니즘 담론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2017 .12
‘탈코르셋’, 겟레디위드미(#getreadywithme) : 디지털경제의 대중화된 페미니즘
한국여성학
2019 .09
사이버 페미니즘(다나 헤러웨이)과 에코 페미니즘(김선희)의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 .09
페미니즘 교육은 (불)가능한가?
한국여성학
2018 .09
급진 페미니즘(Radical Feminism)
여/성이론
2018 .12
셀러브리티 페미니즘 확산 요인 연구
문화와융합
2020 .03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 급진퀴어페미니즘은 가능한가?
한국여성학
2017 .09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에 페미니즘 고전 읽기 : 김진희, 『페미니즘의 방아쇠를 당기다』, 푸른역사, 2018.
한국여성학
2018 .12
윌버의 통합적(Integral) 페미니즘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16 .01
‘페미니즘 리부트’와 지역 여성운동: 전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22 .03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화장품 TV광고의 여성 이미지 : 1991년~2019년의 마몽드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 .10
페미니스트‘들’의 인스타그램 : 디지털 평판과 SNS 페미니즘
한국여성학
2021 .12
신자유주의 시대 젠더정의와 ‘유리천장 깨뜨리기’: 변혁적 논의를 위한 비판 페미니즘의 제안
젠더와 문화
2019 .12
십대, 페미니즘을 통해 일상을 다시 보다
여/성이론
2018 .06
페미니즘 생산론: 페미니즘 ‘재생산론’에 대한 비판적 제안
여/성이론
2023 .06
성노동자운동의 도전과 페미니즘 정치
여/성이론
2016 .05
지방대 학문후속세대의 여성학하기: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2022 .08
과학기술의 젠더혁신 정책 방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7 .10
다시, 도래할 페미니즘을 위한 정동의 정치 : 임옥희, 『젠더 감정 정치』 (여이연, 2016)
여/성이론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