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16 .08
공동체 미디어 활동가의 다중 실천과 정동 체험에 대한 연구 : 미디어 제작 활동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비오그라피 분석
한국방송학보
2017 .09
다중의 등장과 민주주의 심화 : 2016~17년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치학회보
2018 .01
국내 공동체라디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규 허가 조건에 따른 쟁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22 .01
라디오 100년의 고독사(史): 라디오 역사(문화) 연구의 치명적 공백
방송문화연구
2022 .12
다매체 시대 라디오 방송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제언 : 규제 개선 및 진흥 방안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2016 .01
뉴미디어 라디오의 상호작용과 집단지성: 부산·울산·경남지역 라디오방송인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24 .11
[한국 라디오OTT 10년] Radio Everywhere를 향한 10년
방송문화
2015 .06
한국사회에서 ‘다중(multitude)’의 필요성 - 네그리와 하트의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
윤리교육연구
2016 .01
이용시간의 가치를 고려한 라디오방송의사회적 후생효과 추정
정보통신정책연구
2018 .01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의 공동체미디어 실천에 대한 고찰 : ‘창신동라디오 〈덤〉’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8 .06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라디오 참여활동과 권능화
한국방송학보
2015 .11
라디오 르네상스, 스마트폰 FM라디오 직접수신과 라디오 혁신 방안
방송문화
2018 .03
책 관련 라디오 프로그램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22 .02
[라디오 활성화 방안 모색] Free Radio on my Phone! 긴급 제언 : 스마트라디오 5000만 대 보급 방안
방송문화
2015 .09
비혐오 공간 생성을 위한 다중과 공생의 지역복지실천이론에 관한 시론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2019 .01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이론
2015 .11
이주민 미디어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서공동체FM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2020 .01
한국의 초기 라디오 방송 문화 형성과 기독교 방송의 위치
언론정보연구
2019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