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로컬 여성들이 처한 상황들과 성의 정치경제
3. 로컬 여성/페미니즘의 주체적 맞서기: 행위자로서 피해를 드러내기, 선택하기 그리고 맞서 싸우기
4. 나가며: 글로컬 액티비즘을 향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가부장사회 여성으로서의 나의 이야기; 과거를 넘어 미래를 향해
한국여성신학
2020 .07
<완월회맹연>의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의 형상화 방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1 .01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기원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2017 .01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집 떠나기 모티프와 여성
한국문학논총
2015 .01
오염의 메타포와 경계 허물기 - 1980년대 이후 한국 ‘여성 시’에 대해
비교한국학
2020 .01
쟁투하는 정념과 분열되는 자아 : 가문소설에 재현된 여성/혐오: <소현성록>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15 .01
1920년대 김정희(金正希)의 여성운동 - 가부장제 공동체에서 여성공동체로의 전환 사례 -
대구사학
2024 .05
친밀과 돌봄의 정치경제학: 충남 홍동 지역 여성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20 .01
TV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 재현된 가부장 이데올로기 고찰
한국사상과 문화
2017 .01
‘가부장적 엘리트주의’를 넘어서기
황해문화
2025 .03
‘꼽추춤’의 미학 : 박완서 소설의 불구적 남녀관계를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2018 .06
윌리엄 모리스의 미학에서 여성 노동에 대한 인식
철학논총
2020 .07
김유정 소설의 가부장적 질서와 폭력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
2016 .06
마르다의 부엌으로 초대합니다 : 가부장적 공간에서 자기대상과 함께 하는 공간으로
목회와 상담
2020 .01
1970년대 여성문학 ?여성전업작가의 등장과 다양한 글쓰기 주체의 성장?
개념과 소통
2020 .01
소설 『벗』을 통해 본 북한의 ‘가족주의’와 ‘젠더정치’
통일인문학
2021 .06
60년대 여성 정신병의 재현과 히스테리 : 젠더권력으로서의 의학지식과 성애화된 ‘내면’
여성문학연구
2020 .01
다큐멘터리 영화를 통한 ‘국가적 공백’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연구 -다큐멘터리 영화 <공동정범>과 <부재의 기억>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1 .08
17세기 사족여성의 노동 형상화 -17세기 여성의 제문?묘지문?행장 등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버드 그린스팬의 스포츠 다큐멘터리 연구 -설명적 방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0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