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초록]
1. 서론
2. 화성을 기반으로 하는 수원 정체성 정립
3. 민관 협력으로 추진된 화성복원사업의 역사와 계승
4. 수원 화성의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추진과 도시재생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조대 수원 화성 신도시의 위상과 別京 구상
역사교육
2019 .09
『뎡니의궤』를 통해 살펴본 화성 낙성연의 전모와 전통연희사적 가치
민족문화연구
2019 .01
우리나라 사람이 화성에 남았다면?
인물과사상
2015 .12
A Fortress Made in Heaven (Namhansanseong of Gwangju) and the City of a King’s Dreams (Hwaseong Fortress of Suw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12
Political Implications of Court Art Under King Jeongjo: Aesthetics and Production of King Jeongjo’s Visit to Hwaseong
Korea Journal
2020 .09
정조 대 수원화성 수리(水利)시설의 특징과 수리사적(水利史的) 의의
역사민속학
2016 .12
백제 대통사와 『법화경』 「화성유품」 신앙
한국사상사학
2021 .08
조선 후기 와당 연구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중세고고학
2020 .12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9 .01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한문과 프로젝트 학습 模型具案 - ‘水原華城’을 활용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
漢字漢文敎育
2017 .01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번암 채제공 관련 유물의 현황과 가치
민족문화
2023 .03
박물관을 통한 교과연계 체험중심 인성교육 방안 -수원지역 복합문화공간 활용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20 .11
화성 길성리・요리 유적군의 전개과정과 성격
고고학
2024 .04
화성 천천리 구석기시대 유적의 검토
유라시아문화
2021 .08
조선후기 번벽축성(燔甓築城) 논의와 기술 도입
한국민족문화
2018 .05
구한말~일제강점기 전주와 수원의 경관 변화 - 식민지 경관 및 도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역사와교육
2015 .01
조선후기 성곽 축조 기법의 변화
한국중세고고학
2020 .12
한국 속의 베트남 공동체 연구 : 수원시를 중심으로
베트남연구
2018 .01
1795년 정조의 화성 城操와 〈서장대 야조도〉 비교 분석
민족문화
2020 .12
역사 · 건축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 : 진주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