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론
II. 한국의 창세신화와 <창세가>
III. 태초의 세계창조와 신, 자연, 인간
IV. 창조 이후 세계 속 신, 자연, 인간의 관계
V. 결론
참고 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존의 알고리즘 : 문화융복합 시대에 고전문학 연구자가 설 자리
우리문학연구
2018 .04
당신은 신의 세상에 살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 세상에 살고 있는가?
인문과 예술
2020 .01
창세신화의 세 층위와 그 너머
한국무속학
2025 .02
구전신화 속 세계창조 서사의 시원적 생태론과 그 의미- 함경도 망묵굿 <산천굿>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한국 창세신화(創世神話)의특징에 관한 연구
仙道文化
2015 .01
한국과 베트남 므엉족의 창세신화에 나타난 세계관과 가치관
열상고전연구
2020 .01
창세신화에 나타난 善惡의 정치학
우리문학연구
2021 .01
신과 인간이 질문으로 만나다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2 .12
자연에게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타우마제인
2024 .09
한일 창세신화 비교 고찰-한국의 <창세가>와 일본의 『고사기(古事記)』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017 .01
인간의 행복에 대한 기독교적인 이해
행복한 부자연구
2016 .12
주호민의 〈신과 함께〉에 나타난 한민족 신화 활용 스토리텔링 연구
동아인문학
2017 .12
베이컨: 목적론 재발견과 인간중심주의 재평가
철학연구
2020 .05
인간다움이라는 아름다움
월간에세이
2025 .04
어떻게 살것인가 - 인간의 길 -
세계와선교
2017 .06
세계 3대 창세신화 비교 연구 - 중국, 중동, 인도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2018 .01
〈문전본풀이〉에서 집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
한국무속학
2021 .02
『주역』의 神字의 용례를 통해 본 神의 함의
동서철학연구
2015 .09
알타이 창세신화 신화소 분석
슬라브硏究
2022 .06
야쿠트 민족의 창세신화와 주거공간의 의미 연구
노어노문학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