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I. 서론
II. 야쿠트 창세신화의 변이에 나타나는 의미
III. 우주의 모델로서의 주거공간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창세신화 <창세가>에 나타난 신, 자연, 인간의 관계
인간연구
2017 .01
중국 소수민족의 주요 創世神話에 보이는 천지형상과 補天神話의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2016 .07
세계 3대 창세신화 비교 연구 - 중국, 중동, 인도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2018 .01
한국과 베트남 므엉족의 창세신화에 나타난 세계관과 가치관
열상고전연구
2020 .01
한국 창세신화(創世神話)의특징에 관한 연구
仙道文化
2015 .01
창세신화의 세 층위와 그 너머
한국무속학
2025 .02
중국 난생신화의 초학제적 연구 — 알의 상징성과 그 인식 —
동양고전연구
2015 .01
카자흐인과 야쿠트인 전통 장례 비교 연구
슬라브硏究
2021 .12
올바른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신화 식별 방법론 고찰
연세상담코칭연구
2015 .03
주호민의 〈신과 함께〉에 나타난 한민족 신화 활용 스토리텔링 연구
동아인문학
2017 .12
Return of Myth, Myth Resources, and the Contemporaneity of Mythology in Korea and China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2 .02
유라시아 신화와 문학에 나타난 나무의 원형성 연구 : 야쿠트 신화와 고골레프 문학을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2024 .04
구전신화 속 세계창조 서사의 시원적 생태론과 그 의미- 함경도 망묵굿 <산천굿>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탈가부장적 신화 읽기의 전략들 : 텍스트의 전복, 해체, 확장
종교문화연구
2015 .12
한일 창세신화 비교 고찰-한국의 <창세가>와 일본의 『고사기(古事記)』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017 .01
창세신화에 나타난 善惡의 정치학
우리문학연구
2021 .01
알타이 창세신화 신화소 분석
슬라브硏究
2022 .06
부랴트 창세신화에 나타난 세계관과 문화변용 - 불교와 기독교의 영향을 중심으로 -
슬라브硏究
2022 .09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 허구적 내러티브 생성의 일반적 조건과 신화 연구자의 과제
종교문화연구
2016 .06
에벤키족 자연지형물과 문화 기원신화의 유형과 특징
유럽사회문화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