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양미술사, 왜 다시 읽어야 하는가? : ‘동원된 서양미술사’의 신화(神話)와 한국현대미술사의 세 지점
미술사학
2015 .02
[종합토론_한국미술사교육학회 제1회 오픈포럼] 미술대학에서 미술사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미술사학
2015 .02
국내 그리스 미술사학의 현재: 고고학과 미술사학 사이에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5 .02
서양미술사학회 창립과 그 전후의 이야기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5 .02
[INTERVIEW] 김달진_“사진 수집과 영상 생산을 통해 미래의 미술사를 꿈꾼다"
월간사진
2022 .07
『미술사와 문화유산』 특별호를 발간하며
미술사와 문화유산
2016 .11
[종합토론] 한국미술사교육학회 제25회 전국학술대회
미술사학
2015 .08
서양근대미술사와 학문 수다! 그 즐거운 시간들...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5 .02
‘미술의 종말’ 시대의 미술사 : ‘역사적인 것’과 ‘미적인 것’을 넘어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5 .08
하나의 서양미술사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에 대한 소고: E. H. 곰브리치의 『The Story of Art』 분석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2017 .01
김홍희의 페미니즘/포스트모더니즘 미술사론과 이불의 역사적 위상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0 .12
Korean Art in America from 1970s to 2020s
미술사와 문화유산
2024 .08
미술사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 감상자중심 교육
미술사학
2016 .02
[경남도립미술관] 미술사를 지역사로, 로컬로 한국화 읽기
아트인컬처
2023 .03
[CRITIC] 전위의 호출, ‘반란’의 큐레이션 :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전, 미술사를 다시 쓰다
아트인컬처
2023 .07
목수현·최열, 근대미술사와의 만남 - 목수현, 『태극기 오얏꽃 무궁화: 한국의 국가 상징 이미지』, 현실문화 A, 2021 ;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1800-1945 한국미술사사전』, 열화당, 1998
인물미술사학
2022 .12
꽃의 미술사 : 영원, 낭만, 꽃展 6. 20~11. 5 전남도립미술관
아트인컬처
2023 .08
미술사의 "세계미술대회(CIHA)" 참관기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6 .12
[논문세미나] 미국에서의 비디오게임 비평에 대한 개론 - 2017 (원제: Videogame Criticism and Gam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게임제너레이션
2024 .10
근대미술사 흐름을 통해 바라본 GUI 스타일변화 가능성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