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서론
2. 관련 문헌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의 능력주의 인식과 특징
시민과세계
2021 .06
능력주의에 대한 반론 ―허구, 지배 그리고 평등―
법철학연구
2022 .04
메리토크라시의 사회이론 : 하나의 설명 시도
경제와사회
2020 .03
성차별은 어떻게 ‘공정’이 되는가? : 페미니즘의 능력주의 비판 기획
경제와사회
2021 .12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Beliefs about Meritocracy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8 .05
현능주의 논의에서 바라본 차이나 모델의 구상과 한계
중소연구
2021 .02
북한의 노동복지법제 비교분석: 로동법과 외국인투자기업로동법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2018 .01
능력주의와 공정의 딜레마 : 경합하는 가치판단 기준들
경제와사회
2021 .12
정치적 능력주의와 민주공화국
시민과세계
2021 .06
교육공정성, 능력주의가 보장할 수 있는가?: ‘능력’ 형성의 맥락에 대한 이론적 검토
교육사상연구
2023 .05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과능력주의 신념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021 .09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책임성 확보 일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 사회복지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24 .11
사회복지사는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19 .05
사회복지관에서의 문화복지서비스 인식 연구
문화정책논총
2015 .01
Higher Education and Mobility in Korea “University-Based Meritocracy and Duality of Higher Education Effect”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016 .01
분류를 위한 통치 테크놀로지로서 교육평가 비판
한국교육학연구
2018 .01
한국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혁신 : 지방분권형 거버넌스 복지국가
사회과학연구
2018 .02
Wooldridge의 ‘능력주의’에 대한 역사철학적 논의와 그 비판적 분석에 근거한 교육 과제
교육사상연구
2024 .08
능력주의 사회에서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이행기 전략
경제와사회
2022 .03
왜 부모를 잘 둔 것도 능력이 되었나? : ‘능력주의 커뮤니케이션’의 심리적 기제
사회과학연구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