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종수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3卷 第4號 (通卷 第342號)
발행연도
2017.4
수록면
21 - 30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ontemporary philosophy has raised the "Phenomenon", based on the conscious aspects of human and the diverse relationship, from deconstructing dichotomous conflict of modern philosophy. From this "Phenomenon" a new trend, which defines the concept of space in a new way, beside modern metaphysical dichotomous order in architecture. For such a background, Merleau Ponty"s phenomenological thought and interpretation became a philosophical basis of a new architectural concept in the present age. Therefore this study is firstly going to analyse the Merleau Ponty"s concept of experience space which recognize the "Phenomenon" and "existence" as focusing human experience by the review literature. Secondar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thought and the architectural thought from a architectural point of view to set a analytical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new concept of experience space. Finally, the study will analyse and summerize the strategies of the expressions and the features in Ando Tadao"s works and Peter Zumthor"s works by the standard.

목차

Abstract
1. 서론
2. 현상학 이론과 체험적 공간의 일반적 고찰
3. Ando Tadao의 작품에 나타난 체험적 공간 특성
4. Peter Zumthor의 작품에 나타난 체험적 공간 특성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