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표지 & 목차]
[쟁점과 대안]
[Ⅰ. 공동체와 지역소속감]
공동체는 지리적 접근성을 갖는 한정된 지역에서 구성원 간 긴밀한 사회적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집단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은 지역에 대한 애착과 정주의식으로 볼 수 있음
경기도민의 소속감은 내가 사는 마을·아파트(3.06)>내가 사는 읍·면·동(2.94)>내가 사는 시·군(2.91)>내가 사는 경기도(2.89) 순으로 나타남(4점 척도)
[Ⅱ. 이웃과 사회자본(Social Capital)]
지역공동체와 사회자본
경기도민의 26.5%는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활동 참여 의향
최근 1년 동안, 경기도민의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과 횟수는 종교활동(36.2%)과 운동모임(22.2%)의 참여율이 높은 가운데 연령별로 상이한 참여형태가 나타남
경기도민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면, 10명 중 3명꼴로 ‘하소연할 말벗이 필요한 상황’이 있으며, 1인 가구의 경우 각종 어려움에 취약함
[Ⅲ. 경기도 공동체의 실태와 복원]
경기도민의 74%는 평소 이웃에게 비슷한 정도의 도움을 주고 받는다(give and take)고 느끼며, 15%는 더 많은 도움을 받는다고 느끼고, 11%는 더 많은 도움을 준다고 느낌
지역 주민들은 신뢰할만한 사람들이다’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67.4%(4점 척도 기준 2.70)
지역소속감이 높다고 응답한 경우,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통근시간이 짧으며, 각종 선거(대선, 총선, 지선)의 투표참여가 높고, 주택점유형태는 자가인 경우가 많음
[Ⅳ. 정책 시사점]
역능(empowerment)을 가진 도민이 지역 전체의 활력과 정책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 수행 가능
살고 싶은(liveable) 지역으로 거듭나는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며, 실현가능한 포용도시(inclusive city)의 구현
[부록 : 일러두기]
[부록 : 조사개요]
[부록 : 주요결과 요약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Ⅲ: 가계
이슈&진단
2017 .07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Ⅴ : 웰빙
이슈&진단
2017 .07
2016 경기도에 바란다
이슈&진단
2016 .01
2017 경기도에 바란다
이슈&진단
2017 .01
2015 경기도에 바란다
이슈&진단
2015 .01
따뜻하고 복된 공동체를 위한 경기도의 구상
국토
2015 .04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종단 조사 설계 연구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017 .12
정부의 질과 삶의 질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8 .12
경기도민 삶의 질 Ⅳ : 웰빙(삶의 질, 워라밸, 건강수준)
이슈&진단
2018 .11
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조사
연구보고서
2022 .07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현실 재구성을 위한 패러다임 : 내러티브실천(Narrative Practice)의 미시-중시-거시 실천전략 - 고미영, 『지역사회를 위한 이야기치료』(공동체, 2017)
한국사회복지학
2018 .02
경기도 따복공동체의 개념 및 추진방향
정책연구
2015 .05
2021 경기도 시·군별 성 인지 통계
연구보고서
2022 .11
2023 경기도 시·군별 성 인지 통계
연구보고서
2024 .11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경기도민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 요인 분석
환경교육
2018 .06
경기도민 삶의 질 Ⅰ : 마을단위 정주환경 개선
이슈&진단
2018 .10
[취임 300일 인터뷰] 김동연 지사의 ‘유쾌한 반란’_“기회의 경기도가 열린다”
ANDA
2023 .06
경기도민이 바라본 코로나19
이슈&진단
2020 .04
빅데이터로 경기도의 안전을 지킨다
이슈&진단
2015 .03
경기도 정책지표 및 경기도민 미래희망 조사 : 제1부 경기도 정책지표 조사
정책연구
202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