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지역)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노조의 특성이 공무원노조활동(노조운영 효과성, 노조지도부,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전국공무원노조 소속 조합원 6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무원노조활동은 노조운영 효과성(노조몰입, 노조일상활동, 노조성과, 조합원의 노조만족수준), 노조지도부(조합원의견수렴, 의견반영, 지도부전문성, 민주성, 조합원이익대변의지),노사관계(상호신뢰성, 정부측 적극성, 노조간부 불이익, 조합원 불이익)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지역은 노조운영 효과성에서 타 지역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지도부 리더십에서는 인천지역이 서울지역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협력적 노사관계에서는 서울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공무원노조가 지역별 노동운동과 노조활동의 역사 속에서 잉태된 지역 고유의 성격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인천은 수도 서울에서 근접한 대도시이자 일제 이후 항구를 기반으로 성장한 주요 공업도시였다. 따라서 국내 다른 지역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노동자의 높은 밀집도, 빈번한 노사갈등, 잘 조직화된 노동운동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 공무원노조처럼 인천 내의 많은 노조들이 역사적으로 빈번하고 강성의 노동운동을 경험하게 되었다. 연구결과에서처럼 인천의 공무원노조도 효과적인 운영과 협력적인 노사관계라기보다는 강성의 노조지도부를 특징으로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노조활동의 특성과 공무원이라는 신분적 특성을 고려한 공무원노동조합의 활동방안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any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unions between three governm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Incheon city, Gyeonggi province and Seoul city on their Activities(effectiveness of union operation, union leadership, and labor relation). To do thi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611 members of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Union work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nion activities include effectiveness of union operation(commitment to the union, general activities in the un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union), union leadership(opinion collection, opinion application, leader’s expertise, democracy, and willingness to represent), labor relation(mutual trust, government’s initiative, and disadvantages to leaders, and disadvantages to union members). As a result, Gyeonggi, Incheon, and Seoul showed higher levels than the other areas of the metropolitan areas in effectiveness of union operation, union leadership, and cooperative labor relation, respectively. The result implies that public unions reflect their own intrinsic natures that have been conceived in the history of labor movement and actions by regions Incheon has been a big city close to Seoul, the capital, and a major industrial city based on a port since the Japanese colony. Hence, it has a high population density of workers, has driven frequent labor-management conflicts, and has a ground that enables wellorganized labor movement that does barely the other regions across the country. Many unions in Incheon, including public unions, have historically experienced frequent and strong labor movements. As in the result of the study, Incheon’s civil servant union came to have strong union leadership rather than effective operation and cooperative labor relation. Finally,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tudy propos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ctivity measures of public unions that would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unions and special status as civil serv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