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기부채납 확산의 사회적 배경과 비교법연구의 초점
Ⅱ. 독일법상 기부채납의 부담에 대한 사법적 통제
Ⅲ. 미국법상 기부채납의 부담에 대한 사법적 통제
Ⅳ. 독일과 미국의 경험이 우리 법의 해석을 위해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8. 2. 1. 선고 2007다9009 판결
[1] 어떠한 법률조항에 대하여 헌법재판소가 헌법불합치결정을 하여 입법자에게 그 법률조항을 합헌적으로 개정 또는 폐지하는 임무를 입법자의 형성 재량에 맡긴 이상, 그 개선입법의 소급적용 여부와 소급적용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입법자의 재량에 달린 것이기는 하지만, 구 사립학교법(1997. 1. 13. 법률 제5274호로 개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3. 11. 선고 96다49650 판결
[1] 민법 제104조가 규정하는 현저히 공정을 잃은 법률행위라 함은 자기의 급부에 비하여 현저하게 균형을 잃은 반대급부를 하게 하여 부당한 재산적 이익을 얻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기부행위와 같이 아무런 대가관계 없이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게 일방적인 급부를 하는 법률행위는 그 공정성 여부를 논의할 수 있는 성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6. 8. 19. 선고 86누202 판결
어업면허처분을 함에 있어 그 면허의 유효기간을 1년으로 정한 경우, 위 면허의 유효기간은 행정청이 위 어업면허처분의 효력을 제한하기 위한 행정행위의 부관이라 할 것이고 이러한 행정행위의 부관은 독립하여 행정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므로 위 어업면허처분중 그 면허유효기간만의 취소를 구하는 청구는 허용될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2. 21. 선고 2012다78818 판결
[1]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2. 2. 1. 법률 제112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도시정비법’이라 한다) 제65조 제2항에서 말하는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용도가 폐지되어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으로 `양도’되는 정비기반시설은 `정비구역 안’에 있는 정비기반시설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하고, 사업시행자가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새로이 설치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0. 4. 8. 선고 2007다80497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2. 23. 선고 98두17845 판결
[1] 도시계획법 제4조 제1항 제1호, 같은법시행령 제5조의2, 토지의형질변경등행위허가기준등에관한규칙 제5조의 규정의 형식이나 문언 등에 비추어 볼 때, 형질변경의 허가가 신청된 당해 토지의 합리적인 이용이나 도시계획사업에 지장이 될 우려가 있는지 여부와 공익상 또는 이해관계인의 보호를 위하여 부관을 붙일 필요의 유무나 그 내용 등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5다65500 판결
[1] 수익적 행정처분에 있어서는 법령에 특별한 근거규정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 부관으로서 부담을 붙일 수 있고, 그와 같은 부담은 행정청이 행정처분을 하면서 일방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지만 부담을 부가하기 이전에 상대방과 협의하여 부담의 내용을 협약의 형식으로 미리 정한 다음 행정처분을 하면서 이를 부가할 수도 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12. 10. 선고 2007다63966 판결
[1] 구 기부금품모집금지법(1995. 12. 30. 법률 제5126호 기부금품모집규제법으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는 공무원은 여하한 명목의 기부금도 모집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고, 1995. 12. 30. 전부 개정된 구 기부금품모집규제법(2006. 3. 24. 법률 제7908호 기부금품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11. 13. 선고 92누1308 판결
“도로로 지정된 일부 토지를 지목변경한 후 기부채납하여야 한다”는 부관을 붙여 관광호텔의 건축허가를 받았으나 위 부관을 이행하지 아니하여 준공검사를 받지 아니한 채 가사용하던 호텔을 전전 양수한 원고가 허가관청으로 부터 호텔 내의 영업허가증을 재교부받음에 있어 “호텔건물의 가사용기간 만료시까지 기부채납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고 따라서 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비사업에서 기부채납제도의 기능과 법적 규율
중앙법학
2023 .12
서울시 사전협상제를 중심으로 한 공공기여의 의미와 법적 한계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016 .04
서울시 주택정비사업 인센티브 체계의 형평성 검토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018 .10
“잘 나고 똑똑해서 기부하는 게 아니야”
인사이트코리아
2017 .02
[MONEY REAL ESTATE] 전문가 현장진단 | 신통기획 보류하는 단지들…왜? : 진행은 더디고 기부채납은 부담스럽고
매경이코노미
2022 .06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의 순부담률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5 .12
2021 기부 경험 및 기부 문화 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21 .12
2024 기부 경험 및 기부 문화 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24 .12
2022 기부 경험 및 기부 문화 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22 .12
기부 경험은 즐거운 감정 동기를 강화하는가?: 정기적인기부 경험이 기부 유형별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2016 .01
가구 단위의 세속적 기부, 종교적 기부, 상호부조적 기부행동 간 관계와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 - 기부규모와 기부노력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2020 .02
고령화사회의 연금 관련 기부제도 도입과 세제지원 방안 : 기부연금과 연금기부를 중심으로
조세연구
2019 .03
기부채납된 시설부지의 공공성 증진방안 연구 : 서울시 사업완료 지역의 운영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2017 .04
회사의 기부행위와 관련한 이사의 의무와 책임 기준 -영미와 국내의 주요 판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2020 .09
기부활동지역과 기부목적에 따른 기부광고 메시지 전략 연구: 해석수준과심리적 거리감의 적용을 토대로
광고학연구
2018 .01
기부가격의 변화가 기부노력에 미치는 영향 - 중산층 이상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10
[돋보기] 기부도 특별하게 하는 2030 : MZ 식 기부 유행에 ‘기부 연계 마케팅’ 펼치는 유통업계
넥스트 이코노미
2025 .03
조절초점이 기부 유형(금전 vs. 시간)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요인 탐구
상품학연구
2018 .01
[Money : Reconstruction] ‘대한민국 부촌 상징’ 압구정 최고 70층 재건축 시동 : 1만가구 미니 신도시 변신…기부채납이 변수
매경럭스맨
2023 .06
2017 기부 및 사회 이슈 트렌드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