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Moral Cultivation of the Unaroused state in Zhu Xi's Philosophy - Focusing on the Period of Equilibrium and Harmony Debate -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朱子의 未發說과 居敬格物의 수양론
철학연구
2009 .01
朱子의 中和說 변천과정과 ‘敬’工夫論
동양고전연구
2012 .01
載震의 中和論: 未發論의 해체와 욕망 소통론의 수립
철학연구
2010 .12
茶山 未發說의 특징
동양철학
2009 .01
주자와 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특징
철학연구
2012 .01
왕양명의 양지체용에 의한 미발론
철학연구
2009 .01
미발표(未發表) 소설(小說) 삼제(三題)
국어국문학
1972 .11
주희 미발론에 있어서 미발의 ‘주체’와 ‘성격’
철학논총
2009 .04
송시열과 한원진의 미발론 비교 검토 : 미발시 곤ㆍ복괘의 배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9 .06
미발표(未發表)의 「침굉가사(枕肱歌辭)」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959 .02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 공부’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도덕심리학적 의미
동양철학
2009 .01
畿湖學派의 未發 知覺 論爭 : 未發 卦象說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1 .09
주희와 이황의 미발(未發) 이론에 대한 논쟁― 이승환 선생의 미발 개념 비판 ―
동양철학
2009 .01
王陽明의 ‘未發’觀과 良知體用論
양명학
2009 .08
朱子 未發 晩年說에 대한 재검토 : 未發의 卦象과 知覺不昧의 의미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1 .06
정이(程이)의"중(中)"과"미발(未發)"개념 연구 : 여대림과의 논쟁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08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