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허지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최막중 (Seoul National University)
저널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國土計劃 第52卷 第6號(通卷 第231號)
발행연도
2017.11
수록면
57 - 72 (16page)
DOI
10.17208/jkpa.2017.10.52.6.5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post-industrial society, leisure has increasingly been regarded as the opportunity to actively seek self-improvement and enhance quality of life rather than passively to take a rest for labor reproduction.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ffecting allocation of leisure time between passive and active activities and choice of leisure place among home, urban commercial areas, and suburban natural areas, based on 2014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data. Gender, age, income, and education effects are distinct as female, the elderly, low-income strata, and less educated people concentrate more on passive and home-based leisure activities. While gender issue is related to female’s long-standing burden of housework and child rearing, low-income elderly people raise a relatively new social welfare issue of leisure imbalance or polarization. From planning point of view, the paper suggests that public spa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various and affordable leisure opportunities in urban commercial area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틀
Ⅳ. 실증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인용문헌 References

참고문헌 (5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539-001584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