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대만 한류의 수용 과정
Ⅲ. 대만인이 인식하는 한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류의 대만 진출 역사 및 대만인의 한류 인식
디아스포라연구
2018 .06
‘한류’ 용어의 어원 및 대만 한류 발전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문화연구
2019 .01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전망
한국어 교육
2015 .01
한·대만 관계 26주년 회고와 전망
대만연구
2018 .12
한국어 학습이 중국에서의 한류 및 한국 상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품학연구
2015 .01
한류콘텐츠 경험이 국가 이미지,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유럽 신한류 잠재소비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016 .12
한류의 현주소와 한류 상품 수출 방안 연구: CIS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구소련의 독립국가연합) 국가에서 ‘MD’ 수출 중심으로
한국 시베리아연구
2019 .01
What Does Taiwan Want? It Wants to Be Taiwan
Global Asia
2021 .03
한류소비자가 지각한 국가이미지, 한류호감도, 심리적 거리가 태도 및 K-Food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8개국을 대상으로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20 .05
한국인의 대만 인식: 대중문화 경험을 중심으로
대만연구
2017 .06
중화민국과 대만사이 : 하나의 역사, 복수의 역사학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7 .07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on Malaysi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7 .01
유형별 한류 문화콘텐츠와 한국제품 브랜드 구매의도 관계에서 한류 친숙도의 조절효과 분석
통상정보연구
2023 .12
The Glocalizing Dynamics of the Korean Wave
지역사회학
2016 .01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Korean Wave and Future Preparation Plan in Malaysia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20 .10
韓流に対する認識が韓国製品の評価に及ぼす影響: 日本と中国市場での音楽、映像、ファッションを中心に
한일경상논집
2015 .11
日本における韓流
일본근대학연구
2017 .01
Asian Popular Culture and Korean Wave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2015 .12
K-pop and Cultural Community in Brazil
지역사회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