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 장소와 공간 연구의 필요성
2. 원동(Дальний Вост́ок Росс́ии) 공간의 형성
3. 원동(Дальний Вост́ок Росс́ии)의 장소와 공간
4. 강제 징용과 사할린(Сахалин) 지역
5. 결론 : 고려인문학의 본영과 남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속의 러시아 :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동서인문학
2016 .12
고려인 한글문학의 유산과 과제
한국문학과 예술
2024 .12
구소련 지역 고려인 사회에 대한 재인식과 구조적 특징
민족연구
2016 .01
1990년∼2014년 러시아⋅독립국가연합 고려인공동체의 변화와 전문성 증대
인문과학
2016 .01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논총
2017 .06
1920년대 극동지역 고려인 여자대표회 연구 -『 선봉』에 기초하여 -
재외한인연구
2019 .01
최초의 고려인 문학선집 『로력자의 고향』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슬라브학보
2019 .06
원동고려문단의 마지막 문학선집『로력자의 조국』의 기록적 가치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인문학연구
2019 .01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사적 이해와 창조적 소통의 모색
비교한국학
2022 .12
고려인 신문 「선봉」을 통해 본1930년대 원동고려극단의 극예술활동과 고려인 사회에서의 그 위상과역할
재외한인연구
2015 .01
Eurasian Initiative and Strengthening Goryeoin’s Capacity & Networks
슬라브학보
2015 .09
한 눈에 보는 고려인의 문화 - 김병학의 『고려인 인문학 산책』에 대한 소고
한국문학과 예술
2024 .06
재외 한인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양상 - 중앙아시아 고려인문학과 재중조선인문학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21 .03
중앙아시아 고려인사회의 정체성과 홍범도 인식(1937~196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6 .08
1924년 극동지역 최초 신한촌 고려인 도서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6
디아스포라 고려인 시에 나타난 조국과 고향의 변화양상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12
구소련권 고려인 사회의 역사/문화지형과 민족의식 : 매체/학교/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코기토
2021 .10
『고려일보』를 통해 본 현대 카자흐스탄 고려인 사회의 변용
재외한인연구
2019 .01
고려인 여성 Y의 생애 과정에 나타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한국민족문화
201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