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인천·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25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임파워먼트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검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임파워먼트 전체와 하위요인 중 의사결정참여, 지위, 영향력이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임파워먼트 전체와 하위요인 중 의사결정참여, 지위, 자율성, 영향력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임파워먼트 전체와 하위요인 중 의사결정참여, 전문성 신장, 자율성, 영향력이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임파워먼트 요인 중 의사결정참여에서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임파워먼트 전체와 하위요인 중 의사결정참여, 지위, 영향력이 이직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차를 보였다. 여섯째, 설립유형에 따른 임파워먼트 요인은 임파워먼트 전체와 하위요인 중 전문성 신장에서 유의차를 보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s of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53 teachers in Incheon city and Gyeonggi-do province who responded to an empowerment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status, and impact of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Secondly, the results also reveal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status, autonomy, and impact of empowerment according to teachers` age. Thirdly,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fessional growth, autonomy, and impact of empowerment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 level. Fourth, the married group shows higher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than the unmarried group. Fifth, the teacher group without turnover experience shows significantly higher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status, and impact than the teacher group with turnover experience. Finall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ofessional growth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