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조선 천주교와 역사철학적 문제의식
3. 권력과 관용
4. 문화들의 대화와 미시정치학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 천주교 박해와 관용의 원리
대동철학
2016 .01
재난을 가로지르는 문학의 동력 -조선 후기 천주교 문학을 중심으로-
고전과 해석
2021 .01
천주교에 대한 연행사들의 도교적 이해 양상 연구
철학∙사상∙문화
2017 .01
동서교섭의 문화적 맥락과 강원도 천주교의 의미
동아시아고대학
2022 .12
‘강완숙의 죽음’을 통한 여성․천주교 담론 변화 -18~19세기 조선사회의 천주교에 대한 대응-
열상고전연구
2019 .01
Buddhism and the After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ading Souls to the Afterlife in a Confucian Society
Korea Journal
2020 .12
중국소설 《西遊記》 번역본의 조선후기 유통에 관한 연구 : 영남대 소장 번역필사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조선후기 刀劒 素材 科擧 答案사례에 대한 一考察 -「劒策問」과 「劒對策文」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2020 .01
중국천주교의 사제 양성교육 ― 종교교육 현황을 통해 본 중국 천주교의 미래
중국학
2022 .03
강원지역 천주교의 유입과 유교사회의 대응
고전과 해석
2015 .01
조선 전기 불상 특징과 조선 후기 17세기로의 이행
한국중세고고학
2019 .12
강원도 천주교의 정치 신학적 고찰
인문과학연구
2016 .06
전근대 해외 종교문화의 한반도 전래와 불교
불교연구
2021 .08
Rethinking the Jesuit Missionary Paradigm in China and Its Influence on Korean Confucian Scholars
다산학
2019 .01
조선시대 천주교 여성의 역사 다시 읽기: 동정녀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2015 .01
충돌과 화합 : 마샹보[馬相伯]의 중국 천주교 토착화
교회사연구
2016 .06
朝鮮中期 문화의 패턴과 그 표현 양상-山水와 人物을 중심으로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9 .01
1920년대 開闢社의 조선지식 수집과 조선연구 토대 구축 - ‘조선문화 기본조사’의 추진과정과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19 .06
[조선 후기] 2013~2014년 조선후기사 연구 동향 : 새로운 해석을 추구하는 사상사와 사회사
역사학보
2015 .09
燕巖 朴趾源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 양상
대동문화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