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혜련 (중앙대학교) 이운용 (중앙대학교) 이정형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4卷 第6號(通卷 第356號)
발행연도
2018.6
수록면
47 - 56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public architecture as effective resources for the local regeneration and draws a couple of issues based on analysis of planning status and cases from the perspectives of local regeneratio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as ways of improvement of public architecture planning: first, in order to secure systematic management of local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dedicated organization or collaboration system that organically links and manages public facilities. Also related criteria that include the feasibility study, preliminary examination system, conduct review of investment and review standards need to be supplemen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plan including the periphery of public architecture in the aspect of integrated urban planning, and to set up a selection of location standard that supports public architecture be a local center. Lastly, to activate local communities, the study proposes diversification of ways of combining programs and a process for participation and operating fund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지역재생 관점의 공공건축 기획시스템 개요
4. 지역재생 관점의 공공건축 기획시스템 사례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540-003159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