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시장의 경쟁 속에서 중국 신세대 여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도록 마케팅 전략의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국시장 내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현재 중국 내수 시장의 특징은 크게 젊은 세대와 여성 소비자가 시장을 지배하기에 이들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중국 가방 산업의 주요 소비 계층으로 신세대, 주링허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중국 패션 소비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다. 본 연구의 경우 단순히 가방이라는 특정 아이템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보다는 가방의 착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의복과의 연관성을 깊이 있게 살펴봄으로써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종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의복과 가방의 형태를 분류한 후 정의된 의복과 가방 아이템 착용현황을 베이징 도시 여성 소비자의 중심지인 싼리툰, 왕징, 왕푸징에서 촬영된 사진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삼성패션연구소에서 제시하는 유행을 선도하는 스트리트 패션 그룹의 사진 중에서 패션 아이템의 코디가 토털 코디네이션 된 사진만을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연도별 구분하고, 스트리트 촬영기관의 분류기준에 따라 구분한 후 무작위 추출법으로 각 75장씩 추출후 총 1,500장을 이미지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3년 봄부터 2017년 겨울까지 총 5년 동안 선호되는 패션 이미지는 액티브/스포티브 이미지가 높은 빈도로 선호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페미닌/로맨틱, 클래식, 매니쉬, 아방가르드, 에스닉, 기타의 순을 보였다. 다음으로 의복의 상의 색상에 있어서는 black의 민무늬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하의 색상에 있어서는 상의 색상과 같이 black의 민무늬가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수치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그 비중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원피스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복과 가방과의 배색 부분에 있어서는 이색유채색이 높게 빈도로 코디네이션 되었고, 가방 종류에 있어서는 2013년 봄부터 2014년 겨울까지는 숄더백이 주로 착용되었다면, 2015년 봄부터 2017년 겨울까지 점차 크로스백으로 선호 경향을 변화하고 있음을 높은 착용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가방의 색상과 패턴은 의복과 동일하게 black, 민무늬로 높은 착용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의복의 유행색이 가방의 유행색과 무관하지 않음을 생각할 수 있었다. 패션 이미지별로 살펴보면 페미닌/로맨틱 이미지의 경우 가방이 의복과의 배색에 있어 이색 유채색에 숄더백, black, 민무늬가 코디네이션 되고 있었고, 이는 아방가르드 이미지에서도 이색유채색, 숄더백, black, 민무늬 패턴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티브/스포츠 이미지의 경우에는 이색유채색에 black, 민무늬는 동일하나 가방의 종류에 있어 크로스백을 착용함으로써 보다 활동성이 있는 아이템과 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매니쉬 이미지의 경우에는 동색무채색, 숄더백, black, 민무늬가 코디되고 있었고, 클래식의 경우는 이색유채색, 크로스, black, 민무늬가 매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소비시장 내에서 가방 아이템에 주력하고 있는 한국 패션기업에게 베이징 도시 여성을 위한 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preferred bag designs by chinese new generation and to help obtain competitiveness in Chinese market.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young generation and women in China as they are the dominant consumers in the domestic market. They are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young generations, Ju ling hou They are the main consumers of the Chinese bag industry and also leads the fashion industry. The study focuses not just on the bag as a specific item but als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and bags. As for research methods, clothes and the shapes of the bags are classifi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re mostly from photos taken from Sanlitun, Wangjing and Wangfujing. Street photos of total coordination with fashion items provided by Samsung fashion research centers were classified by year from 2013 to 2017. After the year classification, 75 photos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from Samsung Design Net were randomly selected making a total of 1,500 phot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The most frequent fashion images from spring 2013 to winter 2017 is active/sportive images followed by feminine/romantic images, classic images, mannish images, avant-garde images, ethnic images and others. Next, the most frequent color of top clothes is black with plain pattern and that of bottoms is the same. However, the frequency of bottoms is twice higher than that of top. The results of one-piece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The most frequent color arrangement of clothes and bags is different chromatic colors. While the most frequent bag type was shoulder bags from spring 2013 to winter 2014, there is an increasing preference of cross bags from spring 2015. The most frequent color and pattern of bags are black with plain patter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red colors of clothes and bags. According to fashion images, the most frequent coordination of clothes and bags in feminine/romantic images is shoulder bags of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 Avant-garde images also show the same coordination. In case of active/sportive images, the coordination of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 is the same except for bag types, cross bags, which makes it more active. In case of mannish images, shoulder bags with same a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s is the most frequent coordination. In case of classic images, cross bags with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s is coordinated the most. This study gives basic inform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o Korean fashion companies focusing on bags in China and contribut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