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패션 가방의 유행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취향은 더 과감해지고 있어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디자인과 실용성을 모두 고려한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패션 가방 한 개가 제작되기까지는 여러 번의 샘플링과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션 가방디자인 연구가 전무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션 가방 개발 시 샘플 제작 시간단축 그리고 재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전문 서적, 학술논문, 기사와 뉴스,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 프로그램으로 가방 패턴을 제작하고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하여 가상패션 가방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실물 패션 가방을 제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CLO 3D 프로그램 특성과 이를 활용한 2020년∼2022년 패션 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실증적 연구범위는 핸드폰백, 편지봉투백, 클러치백, 콘스탄스백, 박스백, 쇼퍼백의 6가지 가방으로 선정하였다. 평면 또는 입체, 뚜껑의 유무, 지퍼의 유무, 스트랩과 핸들의 유무에 따른 다양한 패션 가방의 형태 그리고 봉제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물리적인 특성과 내구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6가지 가상가방을 먼저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물 가방으로 제작 및 분석하여 실효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연구 결과 CLO 3D 프로그램은 2D 패턴을 텍스처와 물리적 특성을 적용해 실제와 유사한 3D 가상 의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으로 최근 패션시장에서 메타버스와 함께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브랜드에서 이를 이용하여 가상과 실물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증적 연구결과로는 첫째, CLO 3D 가상 프로토타입 제작 시 미리 크기나 모양, 소재의 물성과 컬러를 적용하여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할 수 있었다. 둘째, 생산에 앞서 가상환경에서 패션 제품을 시뮬레이션하면 불필요한 제조 비용 발생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LO 3D 가상가방을 기반으로 실물 가방을 제작해 본 결과 디자인 결과물이 가상가방과 유사하게 연출되어 여러 번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지 않아도 제품의 질을 높여주는 데 최적화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입체적이거나 뚜껑 또는 스트랩과 핸들이 있는 복잡한 형태는 최상의 디자인을 찾는 데 큰 도움을 주는 프로세스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상 프로토타입이 설계 프로세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향후 패션 제품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앞으로 메타버스(Metaverse) 세계와 함께 3D 디자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디지털 패션 관련 서비스 및 브랜드 기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trend on fashion bags is changing rapidly and consumers’ tastes are becoming bolder, raising the need for products that consider both design and practicality reflecting the needs of consumers. However, one fashion bag needs to be sampled and tested several times before it is produced, and there is no research on fashion bag design using a 3D program that can effectively shorten this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t conducted a design development study that can reduce sample production time and reduce materials and costs when developing a fashion bag using the CLO 3D program.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oret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rofessional books, academic papers, articles and news, and Internet sites. According to an empirical study, a bag pattern was produced with the Adobe Illustrator program and simulated using the CLO 3D program to complete a virtual fashion bag. Based on this, a real fashion bag was produc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scope of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 3D program and fashion product design cases from 2020 to 2022 using it. The scope of the empirical study was selected as 6 bags: Cellphone bag, Envelope bag, Clutch bag, Constance bag, Box bag, and Shopper bag. In order to tes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of various fashion bags according to flat or three-dimensional, presence or absence of lid, presence or absence of zipper, presence or absence of strap and handle, and sewing method, six types of virtual bags were first produced, and based on these, It was produced and analyzed as a real bag to confirm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heoretical study found that CLO 3D program simulates 2D patterns with textures and physical properties and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with metaverse in the fashion market, and many brands are using it to develop virtual and real products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research, first, when manufacturing the CLO 3D virtual prototype, an optimized simulation test could be conducted by applying the size, shape, and material properties and colors of the material in adv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unnecessary manufacturing costs and time can be reduced when simulating fashion products in a virtual environment prior to production. Finally, as a result of making a real bag based on the CLO 3D virtual bag,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result was similar to the virtual bag, so it was an optimized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without making multiple prototypes. In particular, complex shapes with three-dimensional or lids or straps and handles were found to be a very helpful process in finding the best design. This study expects that virtual prototyp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sign process and will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futur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research on digital fashion-related services and brand planning using 3D design program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along with the Metavers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