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제2 물결 페미니즘 이후, 페미니즘과 트랜스젠더퀴어 연구
2. 젠더는 퀴어한가? : 퀴어 이론과 트랜스 이론 사이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퀴어에 대한 언어 , 퀴어의 언어
여/성이론
2015 .05
몹시도 퀴어한 페미니즘 인문 기행
여/성이론
2020 .08
세계만들기로서의 퀴어정치학 : ‘우리’의 이야기들, ‘우리’를 변형시켜온 과정들
한국여성학
2018 .12
페미니즘 난국(feminism crisis)의 도발적 변곡점 : 급진퀴어페미니즘은 가능한가?
한국여성학
2017 .09
지역 청년퀴어의 복합적 차별과 공간 퀴어링
젠더와 문화
2023 .12
계속해보게 하는 진행형의 사유 :『 퀴어 이론 산책하기』
여/성이론
2021 .08
한국, 퀴어 문학, 역사: ‘한국 퀴어 문학사’를 상상하기
여/성이론
2019 .12
‘최초’를 넘어 다양한 해석과 논쟁의 장으로 : 루인·한채윤(2024), 『퀴어한국사: 1일 1페이지 퀴어한 역사 읽기』, 서울: 이매진
한국여성학
2025 .03
페미니즘의 퀴어정동정치를 향하여: 독해실천으로서의 퀴어정동이론
한국여성학
2019 .06
번역된 섹슈얼리티, 식민지 조선의 퀴어와 만나다 : 박차민정(2018), 『조선의 퀴어』, 현실문화
한국여성학
2018 .09
퀴어문화축제에서 모두의 축제를 꿈꾸다
여/성이론
2017 .12
급진-문화 페미니즘과 트랜스-퀴어 정치학 사이 : 1960년대 이후 미국 여성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18 .04
트랜스젠더 신체의 정치성: 대상화의 퇴적성으로 살피는 트랜스젠더의 통제적 이미지의 근원
여/성이론
2021 .08
남성 퀴어의 성 정체성과 소설적 재현 : 김봉곤, 박상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2020 .09
한국 드랙킹씬의 탄생과 퀴어 페미니스트 대항공중의 형성
여/성이론
2021 .08
학교교육을 퀴어하는 교육실천으로의 투기(投企)
여/성이론
2023 .06
페미니즘 정치학, 역사적 시간, 그리고 인종적 차이 :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6 .12
미디어의 트랜스젠더 재현 어디까지 왔을까? : 영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가 보여준 한계를 중심으로
여/성이론
2020 .12
십대, 페미니즘을 통해 일상을 다시 보다
여/성이론
2018 .06
페미니즘 생산론: 페미니즘 ‘재생산론’에 대한 비판적 제안
여/성이론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