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춘실 (충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美術史學硏究 第299號
발행연도
2018.9
수록면
51 - 73 (2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황수영·진홍섭 선생의 탄신 100주년을 맞이하여 그 분들의 학문을 회고해 보면 한국미술사학이 어떠한 기초에서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특히 두 분의 불상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분의 불상 관련 초기 연구 활동은 기초 자료를 발굴 조사하고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그러나 이후 선생들이 이룬 학문적 성과를 보면 놀라울 수 밖에 없다. 즉 연구 영역에서는 좀 더 전문화된 불상 자료의 확보를 위해 신라오악조사 및 경주삼산조사 같은 대규모 협업 연구를 계획하여 꾸준한 현지 조사와 연구를 이어갔다. 아울러 명문 및 문헌자료의 수집에도 주목해서 작품의 해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초조사 작업은 이후 불상 관련 도록 및 개설서의 편찬으로 이어져서 불상 연구의 기반 조성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선생들은 당시의 한계를 인정하시면서 “조각사를 쓰지만 삼국 및 통일신라기 작품을 중심 삼아서 기왕의 연구와 주요 작품에 대한 간략한 설명에 그치고 말았다. 우리 조각사 연구는 이와 같은 기초적인 작업에서부터 비롯하여 긴 세월을 두고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술회한 바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중국 불상과의 비교를 통한 편년 및 도상 고찰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또한 고려, 조선시대 불상에 대해서도 일부 관심을 표명하였으나 심도있는 연구에는 미치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물론 당대가 지닌 연구여건의 한계에서 비롯된다.
선생들이 활약하신 또 다른 분야는 불상을 포함한 문화재 관련 행정 분야이다. 1960년대 이후 한국 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면서 문화재 관련 분야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일들을 모두 수행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즉 문화재 보존과 관련된 문화재 지정조사 및 보수 관련 자문업무, 박물관 업무, 그리고 문화재 관련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관련된 여러 일들이 그러한 사례이다. 아마도 그러한 일들에 사명감을 인식하고 충실히 이행한 듯하다. 한편 이러한 문화재 행정의 수행은 본인들의 학문적 연구 역량도 함께 키울 수 있는 과정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로써 개인의 학문적 연구 외에도, 출판, 문화재 행정을 아우르는 분위기를 형성하여, 문화재 관련 학문이 빠른 시일내에 사회적으로 인식이 올라가는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즉 당시 시대가 부여했던 미술사학자로서의 사명 및 또는 선생들이 놓였던 인생에서의 역량이나 위치에서 부여된 사명 등을 충실히 이행한 학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선생들의 연구 활동에 비추어 현재의 연구자들이 본받아야 할 바는 무엇보다 실제적인 불상자료 조사 작업의 확대라고 생각된다. 현재 불상 연구는 많은 진전을 이루고 전문화되었으나, 지나치게 연구사의 파악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개인적인 조사 계획이 가장 중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외에도 문화재 지정조사나 국보, 보물 등 도록의 편찬 사업, 또는 연구 프로젝트 등은 다양한 불상자료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제는 새로운 불상이 다수 발견되는 시기도 아니고, 또한 불상 관련 지정 건도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현재의 연구자들은 과거에 비해 불상의 실물에 접할 기회가 많이 적어졌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전국적인 편찬 사업은 박물관이나 문화재연구소 같은 국가 기관이나 불교 관련 연구기관 중심으로 일부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조사 사업은 미래의 연구자들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므로, 그러한 점에서 좀 더 연구 과제나 편찬 사업의 활성화는 앞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황수영의 불상 연구
Ⅲ. 진홍섭의 불상 연구
Ⅳ. 맺음말 : 황수영, 진홍섭의 불상 연구 의의 및 앞으로의 전망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