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안소연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36집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227 - 253 (27page)
DOI
10.46834/jkmcah.2018.12.36.22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text of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structures of contemporary visual culture will be analysed. It is 88 Olympics when the rapid globalization was accelerated, and international art trends were introduced and influenced Korean artists.
In the 1950s and ’60s, beginning with discussions on modernity through the expansion of medium and abstraction which was required in the fields of Korean sculpture, various styles of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began to be developed. This led to avant garde practice through experimental art in the 1960s and ’70s, and various discussions on modernity became possible. In the meantime,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around the 88 Olympics, contemporary perspective spread rapidly. This eventually changed the terrain of the sculptural scen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installation art.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how the contemporary discussions focused on the installation art in the ’90s after the debate on modernity in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is developed through individual artworks and exhibitions.

목차

Ⅰ. 서론 : 새로움에 대하여
Ⅱ. 세계화와 신세대 미술의 중첩
Ⅲ. ‘탈모던’에 대한 충동과 매체 인식
Ⅳ. 설치미술의 확산과 조각적 오브제의 당위
Ⅴ. 결론 : 오래된 것에 대한 재인식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605-000328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