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들어가며
II. 『세계여체조각』 출판 배경
III. ‘상상의 박물관’? 사진 편집과 구성
IV. 위치하기: 맥락화의 방식
V.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Sculptur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02
한국 현대조각 연구사
미술사논단
2020 .06
Wallbreaker - Expanding Research on Sculpture Ontology in the Intelligent Era
동양예술
2021 .01
조각의 장소성에 따른 장소의 작품화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 조각의 장소성과 조각, 장소, 관객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10
역설과 저항의 미학 - 이승택의 ‘비조각’ -
예술과 미디어
2020 .01
조각의 확장과 비조각의 의미 - ‘부정성(negativity)’으로 존재하는 조각 -
예술과 미디어
2020 .01
Color, the 5th dimension in sculpture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2020 .05
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시 환경조형물 평가에 관한 연구 -해안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4 .02
Colors of the Public Art in Urban, Based on Seoul’s Sculpture
AIC 2017 Jeju
2017 .10
이승택의 작품에 나타나는 전통과 트랜스 모더니티 -‘비조각’ 개념이 드러나는 1960~80년대 <고드레 돌>과 <바람> 연작을 중심으로-
예술과 미디어
2023 .05
Scenery Sculpture
International Invitation Exhibition of Color Works
2020 .12
한국 현대 조각에 나타난 조각 개념의 변모 양상 - 부드러운 마티에르로 이루어진 부드러운 조각을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2018 .08
1965-1972년까지 문신 추상 조각의 전개와 구조 분석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9 .07
동시대 인체 조각에서 나타나는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데이비드 알트메이드와 올리버 라릭의 작업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3 .04
설치미술의 국제화 흐름 속 1980-1990년대 한국현대조각의 변화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8 .12
공간, 서사, 조각 : 김종영 조각의 한국적 공간
미술사논단
2018 .11
중국 근대 ‘공민(公民)’과 조소 : 기념 및 선전조각을 중심으로
미술사논단
2020 .12
충북지역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9 .10
동아시아 고대 불교조각의 흐름에서 한국 삼국시대 불교조각의 變奏
미술자료
2016 .06
전후 한국용접조각에 발현된 특이성의 배치로서 전쟁 기계 연구 -펠릭스 가타리의 분열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