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산업시대인 오늘날 스토리텔링 분야가 대세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변화된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 웹툰은 최고의 볼거리 중의 하나이자 각광받는 콘텐츠로 떠올랐다. 웹툰의 생산과 소비 패턴이 크게 변하면서 기존의 전문 만화가나 만화출판사, 웹툰전문플랫폼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마음만 먹는다면 웹툰 콘텐츠를 쉽게 생산하고 유통시킬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만화교육은 어떻게 변화, 발전해야 할 것인가? 1990년 공주전문대학에 만화과가 설치된 이래로 현재까지 전국에 만화를 전공으로 가르치는 관련 대학이 20여개가 넘고 석사과정이 10여 곳, 2003년 공주대학교를 시작으로 현재 상명대학교, 세종대학교 등에서 박사과정까지 생겼다. 사회적으로 천대받았던 만화가 이제는 학문으로써도 당당히 자리매김 하고 있는 것이다. 초, 중, 고 방과 후 활동 반, 특기 적성 반에서 만화는 매우 인기 있는 과목으로 자리 잡았고 이에 부응하듯 문화관광부 주관으로 강사풀제를 도입하여 일선 학교에서의 만화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나섰다. 고등학교에서부터 만화가를 육성하는 특수목적고로 설립된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는 전국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은 학교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경기예고, 충남디자인고, 울산애니원고, 경남애니고, 서울미술고 등 고교과정에 만화과가 설치된 학교도 수 십 곳에 이른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만화포털사이트인 만화규장각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르면 국내 ‘기업·기관·단체·플랫폼’ 중, 총 79개로 검색되는 ‘교육,연구기관’이 모두 고등학교와 대학교일 정도로 만화교육기관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만화를 보고, 배우는 것이 교육적으로 매우 큰 가치가 있다는 것은 사회적 인식 변화를 따지기 전에 사회 환경의 변화에서 충분히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만화가 어떻게 교육적으로 훌륭한 매체가 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변화된 교육적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한다.
As a cultural content industry Today, the field of storytelling is attracting attention Especially in the changed smart media environment, Webto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and popular contents. A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of Webtoons have changed drastically, it has become an era in which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nd distribute Webtoon contents as well as conventional professional cartoonists, comic book publishers, and webtoon professional platforms. How should comic education change and develop in this digital environmen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comics at Gongju Junior College in 1990, there have been more than 20 related universities teaching manga as major in the whole country and more than 10 master"s courses. Since 2003, they have started to have doctor course at Kongju University, Sangmyung University and Sejong University. The cartoonist, who socially had been treated contemptuously, is now well established as a study. Manga has become a very popular subjec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fter school classes and special aptitude classes. In response to this, manga education is actively supported at the front line school by adopting lecturefullsystem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Established as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 to raise cartoonists from high school, Korea Animation High School has become one of the most competitive schools in the nation. There are dozens of schools where high school Cartoon courses such as Gyeonggi Art High School, Chungnam Design High School, Ulsan AnnieOne High School, Gyeongnam Annie High School, and Seoul Art High School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Manhwa Kyujanggak, a cartoon portal site run by the Korea Manhwa Promotion Agency, all of th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that are searched in 79 out of the "companies, institutions, organizations, platforms" Cartoon Educational institutions(High School and University) are also rapidly expanding. Learning and watching cartoons are of great educational value because they can be fully read in th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before they are chang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out how comics can become an educational medium and become a changed educational tool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