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선행 연구 검토 및 조사 설계
3. 분석 결과 및 시사점 논의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 연구: 일본 사례의 분석과 응용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0 .10
발달장애 어머니 대상의 〈포토툰 수업〉사례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8 .03
만화 기반 질적연구의 방법적 탐색
조형교육
2023 .06
1950년대 초 피난지 부산만화의 만화사적 의의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23 .03
3D그래픽을 활용한 디지털만화의 제작기법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2015 .03
책 페이지에 구현된 만화의 흑백 연출 의미 분석 : 흑과 백이 갖는 상징성의 조화와 대립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5 .09
문화예술교육, 학교예술교육의 대안으로서의 고찰
한국예술연구
2018 .09
6,70년대 합동출판사의 만화 제작과 유통 독점체제의 문제점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9 .12
회화적 관점으로 바라본 코믹스와 망가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0 .01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나타난 무용교육 가치 탐색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025 .03
문화예술교육 정책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
한국무용연구
2015 .01
4차 산업혁명 시대 만화교육 역할 제고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8 .12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의 노인만화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참여 노인들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7 .06
미국 언더그라운드 만화의 도전과 반란 -현대 만화의 다양성에 미친 영향력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3 .12
예술 향유 능력 제고를 위한 학교 예술교육 지원 방안: 아일랜드 학교 예술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2017 .06
중국 최초의 만화〈시국도(時局圖)〉의 시대론적 의미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4 .06
1955~1965년 단행본, 만화잡지, 대본소의 공존 시대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21 .06
만화를 활용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연구 - 한국과 중국 브랜드 사례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024 .02
1920-30년대 한국 만화의 ‘웃음’과 미학적 특징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7 .03
지역문화예술교육단체의 지속성장을 위한 방안 연구 - 지원기관의 정책적, 행정적 관점에서
음악과 문화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