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머리말
Ⅰ. 연천 지역의 고구려 지명
Ⅱ. 고구려 지명과 교통로
Ⅲ. 연천 지역 경영과 고구려 지명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구려의 州·郡·縣에 대한 재검토 : 중·후기 지방편제의 이해와 관련하여
사학연구
2019 .03
6세기 중엽 고구려와 신라의 통호와 7세기 전반까지 양국의 상호 인식
史叢(사총)
2017 .01
충주고구려비를 통해 본 5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와의 관계
고구려발해연구
2019 .11
삼국유사의 고구려 불교사 서술과 그 한계
사학연구
2018 .06
고구려의 ‘中原 地域’ 진출에 대한 小考
고구려발해연구
2015 .03
5세기 중엽 고구려의 신라방면 영향력 확대와 충주고구려비
고구려발해연구
2025 .03
前燕 속의 ‘高句麗系 流民’
이화사학연구
2021 .12
『삼국사기』를 통해 본 4∼5세기 중부지역 삼국 영역변천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2022 .06
신라 진평왕대 대고구려 전투의 의미
역사와경계
2019 .03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고구려의 韓半島 中部地域 지배와 漢城 別都의 건설
한국고대사연구
2020 .09
고구려 도시 연구 試論
사림
2022 .10
고구려와 북조의 조공관계 성격
한국사학보
2019 .05
660년대 고구려의 대남방 전략
대구사학
2018 .01
遭遇와 衝突로 高句麗 後期를 이해하다 -김진한, 2020,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
선사와 고대
2021 .01
고구려 ‘남평양(南平壤)’ 위치와 변천에 대한 검토
전북사학
2022 .11
사료로 본 3명의 고구려 여성 이민 사적에 관한 고찰
영남학
2022 .06
高句麗와 宋 교섭의 의미 - 459년 사행을 중심으로 -
고구려발해연구
2020 .03
위진남북조시기 중국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 고조선 · 고구려 · 부여계 이주민 집단 연구
한국사학보
2018 .08
초·중등 역사교과서의 삼국 시대 영역 표기에 대한 검토
역사문화연구
2022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