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장용일 (Hyupsung Univ.) 김창성 (Hyupsung Univ.)
저널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KIEAE Journal KIEAE Journal Vol.19 No.4(Wn.98)
발행연도
2019.8
수록면
35 - 44 (10page)
DOI
10.12813/kieae.2019.19.4.03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urpose: Since 2000, urban regeneration has begun to respond to the urban problems of urban decline and climate change due to changes in industrial paradigm and global warm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community that responds to complex urban problem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the step of using GIS technique and the application of the importance model according to the type of green community urban regeneration project. First, the index system for deriving the target area was set up and the core indicators were selected. The selected core indicators were applied to the GIS technique to derive the integrated indicators and maps. Second, this study tried to re-establish the area as a typ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lanning by applying the importance model.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8 urban areas were derived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the complex city. The eight urban areas were re-adjusted into 4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community was suggested.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범위
3. 대상지역 선정 지표체계 설정 및 핵심지표 선정
4. 대상지역의 핵심지표 분석 및 지수표준화 및 지도화
5. 도시재생 대상지에 녹색커뮤니티 사업유형의 설정
6. 녹색커뮤니티 도시재생 계획수립 방향성 제시
7.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