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아랍어와 아랍문학 아랍어와 아랍문학 제22권 제4호
발행연도
2018.1
수록면
39 - 63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1세기 현재 총체적인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인류 생존 위협은 전지구적 문제이며, 이슬람세계 또한 예외가 될 수 없다. 일찍이 이슬람은 환경의 중요성을 깨닫고 코란과 하디스에 환경 보호 및 유지 보존 원칙들을 언급하였으며, 이를 준수하려 노력했다고 주장했다. 즉 무슬림의 삶의 원칙이며 지침인 샤리아를 통해 다양한 환경보호 방안들을 실천해 왔다는 것이다. 우선 코란에는 100여개의 구절들을 통해 알라의 유일성과 천지 창조, 균형, 대리, 정의롭고 낭비하지 않는 공동체, 아름다운 자연에 대한 감사, 경외심, 연민과 선행 등의 환경원칙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이슬람의 성서이며 샤리아의 제1법원인 코란에 의해 확정된 규범이 되면서, 순나(하디스)와 법학자들에 의해 어떠한 이의도 제기되지 않았다. 한편 사막이 많고 물이 부족한 중동지역의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이슬람은 물(수자원)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왔다. 코란에서는 물에 관해 60여개 구절이 발견되고 있고, 이의 내용 또한 첫 번째 창조물, 모든 생물의 근원, 모든 식물의 근원, 지구상에 있는 식물 다양성의 요인, 음용의 근원, 알라를 기억하게 함, 약속이며 위협, 두려움과 희망의 근원, 파멸의 위협, 최후의 심판일에 처벌의 수단, 운송수단, 복음ㆍ자비ㆍ청결의 소식 등으로 다양했다. 다음으로 코란에 나타난 물(수자원) 관련 주제어(물, 비, 강, 바다)를 이용해 하디스에서 40여 개의 관련 구절들을 도출하고 이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코란의 물(수자원) 구절들은 내세의 수단(알라의 약속 및 위협)과 현세의 수단(생태계의 근원)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하디스의 내용들 또한 이의 범주에 포함되어 코란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해석ㆍ제약ㆍ한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랍어로 환경이란 단어는 ‘무히뜨(المُحِيطُ)’ 이다. 이 말은 ‘에워싸고 있는 것(존재)’이란 뜻으로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것을 에워싸고 있는 존재, 즉 알라를 의미한다. 이슬람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에워싸고 있는 자연현상이 곧 알라의 징표이며 모습이라고 본다. 환경(무히뜨)이 곧 알라의 실체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슬람은 인간이 자연의 지배자로서 환경을 파괴할 권리가 있다는 인본주의를 부정하고, 인간이 알라의 대리인으로서 알라에 대한 책임과 타자에 대한 책임을 인지하면서 공존하는 자연주의를 지향하고 있다(Nasr 1990, 219, 224). 결국 이슬람의 시각에서 볼 때, 인간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태계를 사용하고 이용할 권리가 있는 반면 천지를 창조한 유일신 알라의 대리인으로서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할 무한한 책임을 지고 있는 존재이다(Hdlfaya, Kotb, Hanafi 2016, 9). 이상에서 살펴본 이슬람의 환경원칙과 물(수자원)에 대한 의미를 뒷받침하는 실천적인 내용은 법학파(법학자)의 법적 견해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이슬람식 자연보호구역인 ‘히마(حمى)’에 대한 연구도 향후 다루어야 할 주요 과제라 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