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경제의 최종소비지출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NPO의 경제규모는 2016년 3조 9,279억 원으로 총 최종소비지출 중 3.7%에 해당한다. 이것은 다른 OECD국가들과 비교하여 높은 비중으로 우리나라 NPO의 활동이 활발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NPO에 대한 자료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 활동에 의한 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NPO의 활동이 지역과 산업 간에 미치는 경제적 유발효과를 추정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소비내생화모형을 이용하여 소비지출과 그에 대응한 소득 증가 등에 의한 최종적인 경제적 유발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PO 최종소비지출의 지역별 경제적 유발효과는 기본적으로 그 지출규모에 의해 결정되지만, 지역에 따라 역외 소득유출 규모에 의해서 증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취업유발효과에서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소비지출에 의한 지역 내 소득순환이 취업유발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NPO 최종소비지출의 산업별 경제적 유발효과는 NPO의 주요 활동영역인 교육, 보건, 사회복지, 문화 등 주로 사회서비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역의 취업뿐만 아니라 생산과 부가가치 증대에도 각 산업에 따라 크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지역・산업 간의 경제적 유발효과를 보면, 수도권 이외 지역이 최종소비지출의 규모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보건, 사회복지, 문화 등의 산업의 경제적 유발효과가 수도권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즉 NPO의 활동이 지방에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요컨대 NPO는 교육, 보건, 사회복지, 문화 등 주로 사회서비스부문에서 경제적 유발효과가 높으며, 특히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지역주민의 취업을 증대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Based on the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of the national economy, the economic size of the NPO stood at 3,927 billion won in 2016, representing 3.7% of total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This means that the activities of NPOs in Korea are active due to their significantly high proportion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economic effects of the activities because the data on NPOs are limited. This study estimated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the activities of NPOs in Korea between regions and industries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particular, the final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consumption expenditure and corresponding income increases was estimated by using the consumption endogenous specification model that was not considered in the preceding studi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effect of NPO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is basically determined by its scale, but i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size of income outflow on the region. The change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come circulation within the region by consumption expenditure has a great influence on employment inducement. Second,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NPO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by industry was high mainly in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culture, which are major activities of NPO. In particular, not only local employment, but also production and value added increase are seen in large numbers in each industry. Third,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among regions and industries shows that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industries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cultur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apital region, despite the low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activities of the NPO contribute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the provinces. In short, NPOs have a high economic impact mainly on the social services sector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culture, and can greatly contribute to increasing employment of local residents, especially in regions outside of the capital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