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전후 남한 사회와 부랑아 처리라는 난제
3. 거리에서 시설로, 부랑아 수용이라는 당위
4. ‘생일 없는 소년’의 고백과 1960년대적 각색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전쟁 체험수기의 이야기 양상과 문예적 특질 - 신용섭의 한국전쟁 체험수기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2020 .01
1950~60년대 어린이 인권 문제의 역설 -어린이 인권 담론과 현실 사이의 모순을 중심으로-
학림
2023 .03
황순원 소년소설의 아동문학사적 의미
한국아동문학연구
2019 .12
근대도시주거로서 충정아파트의 특징 및 가치 : 충정로3가 일대의 도시 변화와 연계하여
도시연구
2018 .10
예술과 사회 : 한나 폴락의 다큐멘터리에 묘사된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의 부랑아 문제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19 .03
1930년대 『가톨릭 소년』지의 아동문학 양상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2018 .06
공론을 통해 본 금수현의 사회관(社會觀) ? 박정희 군정기 ?거리의 심리학?(1962), ?거리의 표정?(1963)을 중심으로 ?
항도부산
2022 .08
나의 역사 연구
韓國史學史學報
2015 .01
소년의 詩
문학들
2017 .05
다시 소년이 온다
황해문화
2025 .03
4월혁명과 어린이 시민성의 발견
역사비평
2022 .11
1920년대 ≪신소년≫ 소년시少年詩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2015 .05
황순원 초기 소설 속의 순수한 아동 표상 고찰
한국아동문학연구
2017 .12
해방 후 소설과 ‘소년의 행로’
구보학보
2019 .01
해방기 소년소설의 이데올로기와 ‘통합’을 위한 장르적 기획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22 .06
해방기 장소의 형성과 감정 동학의 지형
춘원연구학보
2018 .12
한국 소년소설의 궤적을 밟다 : 최미선, 『한국 소년소설과 근대주체 ‘소년’』, 소명출판, 2015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5 .12
‘사회주의적’ 가족로망스와 젠더 -『별나라』와 『신소년』의 소년소설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23 .12
≪미공개 『어린이』≫에 실린 아동서사의 갈래구분과 서사학적 분석
동화와 번역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