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Vicious Desire: The Insect Woman of Kim Kiyoung and Imamura Shōhei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1 .02
〈우나기〉의 상징과 실재 담론 분석
국제언어문학
2021 .12
Analysis of psychological effects expected from educational pet insect rea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2015 .01
벌레의 길
시조시학
2015 .06
신여성과 패션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의 미학론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8 .08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Positive affect of insect-mediated mental healthcare program to adolescent’s emo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2015 .01
아기 벌레 외 1편
창비어린이
2016 .06
日帝 下 新羅 花郞 硏究와 南堂 朴昌和의 ≪花郞世紀≫ : 花郞制의 起源・成立 問題를 中心으로
신라사학보
2017 .12
『벌레를 좋아하는 아가씨(虫愛づる姫君)』에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風の谷のナウシカ)』로- 흔들리는 젠더와 구원 -
日本思想
2015 .01
映画『楢山節考』における共同体の想像と創造
일어일문학연구
2017 .01
전후 일본과 폐쇄적 욕망의 시각적 구조 : 〈끝없는 욕망〉의 카메라와 미장센
인문콘텐츠
2019 .09
한국 인류기원신화의 ‘벌레’ 화소 재고
인문논총
2016 .01
조선 전기 패설 연구의 성과와 방향
동방한문학
2019 .01
과학서사의 번역과 그 영향 : 파브르 『곤충기』의 한국 근현대 수용사
코기토
2016 .02
李鈺의 ‘벌레(蟲)’에 대한 인식과 문예적 의미
국어국문학
2016 .03
고려의 종교 문화 지형과 `토속신앙` : 김갑동, 『고려의 토속신앙』, 혜안, 2017
서강인문논총
2019 .04
1910~20년대 일본인 저작의 조선 의생활(衣生活) 항목 비교 : 이마무라 도모(今村鞆) · 니시무라 신타로(西村眞太郞) · 마츠다 코(松田甲)의 기록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16 .12
와카와 하이쿠에 나타난 ‘여치’와 ‘귀뚜라미’ - 명칭의 혼동과 시상(詩想)의 혼란 -
일본연구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