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상연 (서울대학교) 전봉희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6卷 第1號(通卷 第375號)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81 - 92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marathon course and the progress of the related urban landscape design project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initially selected course of the downtown Namdaemum changed to the riverside course that runs around Gangnam and Han river. This change implied that showing the developed landscape of Seoul was much more considered than showing the traditional landscape of Seoul. The urban design plan had changed in 1986 after the marathon course was finalized. The development project of downtown was changed to Gangnam area including Teheran-ro. The city also redeveloped the substandard housing zones around the Olympic facilities. As a result, developed areas and modern apartments of the riverside was emphasized in international TV game broadcast. This embedded the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image of Seoul to foreigners. Also, Koreans started to recognize the Han river as Seoul’s representative landmark. Accordingly, Seoul succeeded in creating a modernized urban landscape image through the Olympic marathon cours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역대 하계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유형과 변화
3. 88서울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결정 과정
4. 마라톤 코스의 정비 전략과 도시 경관 이미지 구축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540-000229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