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안현찬 (서울연구원) 조윤정 (서울연구원) 채혜인 (워싱턴대학교)
저널정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서울연 2018-PR-52]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의 주민자원 활용 촉진방안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1 - 154 (15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ommunity resources, including time, services, materials, and cash donated by residents, are recognized as the substantial capacity and social capital of the local community. The Seoul Community Support Program(SCSP), which has become a major policy measure for local communities,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resources in principle, but has not appreciated them in practi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ssessment criteria and rewards that are appropriate for community resources for SCSP.
Based on the delphi-survey responses of 108 stakeholders, community resources in SCSP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volunteer time, service, material, and cash) with 14 sub-types and the monetary value of each sub-type. The main results of applying the criteria to 2,357 community resources of 44 SCSP projects from the sample survey are as follows: 1) the community resourcing network is based on a Long-Tail structure and mutual aid: 2) the fact that the resulting resource value is 2.1 times the initial grants implies that local communities in Seoul are not dependent on public suppor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o improve SCSP in the following ways: 1) adjusting the procedures to be able to assess community resources: 2) introducing non-financial rewards with proven efficacy from measuring as key outcomes to refunding partly to local voucher.

목차

[표지]
[요약]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01 연구개요]
1_연구배경과 목적
2_연구내용과 방법
[02 이론적 고찰과 사례 검토]
1_주민자원의 개념과 정책적 지원
2_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과 주민자원
3_해외사례 : 시애틀 네이버후드 매칭 펀드
4_소결
[03 주민자원의 인정 기준과 활용실태]
1_주민자원에 관한 기본인식
2_주민자원의 유형 분류
3_주민자원의 가치환산 기준설정
4_주민자원의 가치측정과 활용실태
[04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개선방안]
1_주민자원 확인 방식과 절차
2_주민자원 활용 촉진방안
3_단계적 개선 전략
4_연구의 시사점과 과제
[참고문헌]
[부록]
1_델파이 조사 설문지
2_강북구 마을공동체사업 비현금 주민자원 활용실태 현자조사 기록지
3_강북구 마을공동체사업의 주민자원 가치환산 예시가격
[Abstract]
[Content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59-000366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