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요약]
서울시 청년층 실업률·고용률은 전국 평균보다 각각 0.6%p, 3.4%p 높아
첫 취업 소요기간·시간제 근로비중 증가 등 청년층 일자리 사정 점차 악화
청년층이 첫 일자리 그만둔 이유는 보수 등 근로조건 불만족이 51%로 1위
서울시 청년층 취업경험자 52.5%는 이직자, 이직횟수는 평균 1.85회 달해
3회 이상 이직 시 첫 직장 유지할 때보다 임금수준은 대체로 낮아지는 경향
학력 높을수록, 사업체규모 작을수록 재취업에 따른 직장만족도 개선 어려워
재취업 시 사회보험·복리후생 혜택 감소 ‘첫 직장 유지보다 근로조건 악화’
대졸 이상, 근무기간 길수록, 사업체규모·직장만족도 클수록 이직 확률 줄어
첫 직장, 이직 후 재취업 직장에서 일경험이 경력이 되는 정책적 지원 필요
뉴딜일자리 이용해 청년 근로자 역량 강화, 경력직 양방향 고용플랫폼 마련
근로환경 개선하는 기업문화 선도할 ‘서울형 강소기업 선정·육성사업’ 시행
[목차]
표목차
그림 목차
[01. 서론]
1_연구배경 및 목적
2_연구내용 및 방법
[02. 서울시 청년층의 경제활동과 관련 정책]
1_서울시 청년층 경제활동 현황
2_서울시 청년 대상 일자리 정책
[03. 서울시 청년층의 노동시장 현황]
1_서울시 청년층 실업 및 고용 현황
2_청년층 구직 및 이직 현황
[04. 서울시 청년층 이직 및 재취업 분석]
1_이직에 관한 이론적 고찰
2_서울시 청년층의 이직과 재취업 특성
3_청년층 이직의 결정요인 분석
[05. 서울시 청년 일자리 정책의 방향과 과제]
1_서울시 청년층 이직 및 재취업 분석의 시사점과 정책 방안
2_서울시 청년 일자리 정책 과제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Conten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청년 취업자의 이직의사 예측모형 탐색 연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2018 .0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Youth Employment on the Preparation for Turnover: Focused on the adjustment effect of experience in failing to get jobs
산경연구논집
2020 .01
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Ⅲ : 청년 이직자 - 심층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12
경기도 청년정책 현황과 방향
정책연구
2018 .08
European and South Korean Unemployed Youth in Times of Crisis : An Analysis of Youth Unemployment Related Problems and Policies for the Young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2016 .08
DETERMINANTS OF YOUTH UNEMPLOYMENT: EMPIRICAL ANALYSIS OF OECD AND EU MEMBER COUNTRIES IN 2000-2017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2021 .09
청년 미취업 기간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2022 .03
Job Separation Risk and Youth Unemployment in Korea
Korea and the World Economy
2016 .04
Azerbaijani youth in transition: Is the state youth policy effective enough?
Journal of Eurasian Studies
2021 .08
지방정부의 청년정책 만족도 및 필요도 분석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018 .12
Direction of Korean Youth Policy Seen through Youth Guarantee and AmeriCorps: Policy Proposal That Does Not Miss Out on Vulnerable Groups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24 .02
청년층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범죄심리연구
2022 .09
영국의 청소년활동 커리큘럼 도입 배경과 특성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2023 .06
청년고용정책 참여유형이 청년대졸자의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20 .05
서울시 청소년참여 활성화방안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2017 .12
‘취업’과 ‘실업’의 사이에서: 청년이직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
2020 .12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개발 사례연구: 광주광역시 동구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020 .01
아르바이트생 근로실태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015 .06
Why Korea’s Youth Unemployment Rate Rises
[KDI] KDI FOCUS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