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진하 (서울연구원) 황민영 (서울연구원)
저널정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서울연 2018-PR-64] 서울시 청년층 이직 · 재취업 특성과 청년실업의 정책 시사점
발행연도
2019.5
수록면
1 - 101 (10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youth unemployment and contribute to policy measures for youth employment by identifying the job turnover and re-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youth in a dynamic analysis. Toward this end, this study has analyzed youth employment policies in Seoul, and the status and empirical features of young workers in Seoul. This study has raised the issue of young people increasingly and voluntarily leaving work due to unsatisfied working conditions, which may be the underlying factor contributing to youth unemployment. Young workers choose to leave their jobs in search of better working conditions. Turnover improves discrepancies between pay and workability levels; however, it may represent a lost opportunity to receive welfare benefits. Repeated turnover has been shown to lower the pay levels. Welfare benefits and job satisfaction have been the key determinants of job turnover. Therefore, the policy for young people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the transition via rational selection and settlement in new jobs considering the active job search efforts of youth. Specific information rather than policy measures that focus on job creation are needed to generate jobs matching work available. It is also necessary to suppor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to improve working and cultural conditions in order to prevent young people from leaving the SMEs.

목차

[표지]
[요약]
서울시 청년층 실업률·고용률은 전국 평균보다 각각 0.6%p, 3.4%p 높아
첫 취업 소요기간·시간제 근로비중 증가 등 청년층 일자리 사정 점차 악화
청년층이 첫 일자리 그만둔 이유는 보수 등 근로조건 불만족이 51%로 1위
서울시 청년층 취업경험자 52.5%는 이직자, 이직횟수는 평균 1.85회 달해
3회 이상 이직 시 첫 직장 유지할 때보다 임금수준은 대체로 낮아지는 경향
학력 높을수록, 사업체규모 작을수록 재취업에 따른 직장만족도 개선 어려워
재취업 시 사회보험·복리후생 혜택 감소 ‘첫 직장 유지보다 근로조건 악화’
대졸 이상, 근무기간 길수록, 사업체규모·직장만족도 클수록 이직 확률 줄어
첫 직장, 이직 후 재취업 직장에서 일경험이 경력이 되는 정책적 지원 필요
뉴딜일자리 이용해 청년 근로자 역량 강화, 경력직 양방향 고용플랫폼 마련
근로환경 개선하는 기업문화 선도할 ‘서울형 강소기업 선정·육성사업’ 시행
[목차]
표목차
그림 목차
[01. 서론]
1_연구배경 및 목적
2_연구내용 및 방법
[02. 서울시 청년층의 경제활동과 관련 정책]
1_서울시 청년층 경제활동 현황
2_서울시 청년 대상 일자리 정책
[03. 서울시 청년층의 노동시장 현황]
1_서울시 청년층 실업 및 고용 현황
2_청년층 구직 및 이직 현황
[04. 서울시 청년층 이직 및 재취업 분석]
1_이직에 관한 이론적 고찰
2_서울시 청년층의 이직과 재취업 특성
3_청년층 이직의 결정요인 분석
[05. 서울시 청년 일자리 정책의 방향과 과제]
1_서울시 청년층 이직 및 재취업 분석의 시사점과 정책 방안
2_서울시 청년 일자리 정책 과제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Content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59-000366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