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회화적 풍경사진’ - 일본 ‘예술사진’에서 풍경의 의미
Ⅲ. 명소와 ‘풍경’의 공존 - 재조선 일본인들의 ‘예술사진’
Ⅳ. ‘풍경’의 발견과 교육 - 조선인 사진가들의 작업과 일간지 공모전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Special 5] 아시아 예술사진 활성화를 위하여 : Photofairs Shanghai
월간사진
2016 .09
일제시기 신문 스케치사진의 사진사적 연구 -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AURA
2022 .02
[업앤커밍 아티스트] 김예슬_“어린이를 위하여”
월간미술
2023 .12
예술사진과 현대미술의 지형도 변형 : 갤러리스트로부터 수집가, 그리고 미술관에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5 .02
Imagery Landscape 2019-5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19 .11
Imagery landscape 2019-4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19 .05
Imagery landscap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18 .05
호미 바바의 이론을 통해 본 정해창 사진의 향토색 - <풍속: 다리를 건너는 사람>과 <인형의 꿈>을 중심으로 -
한국예술연구
2020 .03
[SPECIAL] 풍경사진, 페어링(LANDSCAPE, PAIRING)
월간사진
2023 .05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출품작을 통해서 본 1960년대 한국사진의 모더니즘과 주관적 사진의 수용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0 .07
한국 근대기 예술사진의 전개와 사진공모전의 정착 : 《조선사진전람회》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7 .12
익숙한풍경1904(Familiar Landscape1904) 외 1집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19 .05
Landscape2022-4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07
inner landscap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1
Landscape2024-6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10
Landscape2024-1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6
Landscape2024-5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8
Thing-landscape 24-001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6
landscap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8
Landscape2024-3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