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 19-18] 고령자 대상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1 - 102 (10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and over reached 15% in Korea at the end of 2019. In keeping with the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Korea Consumer Agency had expanded the provision of consumer education targeting older consumers since 2018. In order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consumer education targeting older consumers, this study analyzed experts’ perceived importance of consumer education course contents and older consumers’ behavior,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a total of five main areas of consumer education course contents, including ①consumer damage, ②safety accidents and their prevention, ③consume i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④personal financial planning, and ⑤consumer-citizenship were considered. In the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①consumer damage was the “concentrate here” area; ②safety accidents and their prevention was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③consumer i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was the “low priority” area; ④personal financial planning was also the “low priority” area; and ⑤consumer-citizenship was the “possible overkill” area.

As of next, contents of leaflets, teaching plans, web-toonized card news and magazines published during 2018 to 2019 by Korea Consumer Agency were analyzed. Also, themes of consumer education classes targeting the elderly during 2018 to 2019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current materials and recent classes were dealt with ①consumer damage and ②safety accidents and their prevention. Based on results of IPA and content analysis, this study propose that more than 3 times of consumer education sessions are required, in order to diversify themes of consumer education targeting older consumers. Also, the new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expansion of programs for consumer education practitioners were recommended.

Opinions from consumer education practitioners were also investigated in this study. Issue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instructor-led training method and the level of difficulty were raised. Findings of this study can drive future development efforts for consumer education materials targeting the elderly.

목차

[표지]
[머리말]
[국문요약]
I. 연구 배경
II. 연구 내용
III. 연구 결과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Ⅰ.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3절 고령소비자의 소비생활 특성
[Ⅱ. IPA기법을 활용한 중요도와 소비자역량 분석]
제1절 IPA기법의 개요
제2절 고령소비자 대상 소비자교육 내용의 중요도 평가 결과
제3절 고령소비자의 실천 수준 측정 결과
제4절 IPA기법을 활용한 중요도-소비자실천 분석
제5절 소결: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의 시사점
[Ⅲ. 고령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와 현실적 수행 상의 격차]
제1절 고령자 대상 소비자교육 콘텐츠 제작 현황
제2절 고령자 대상 소비자교육 추진 현황
제3절 고령자 대상 소비자교육 전문강사 양성
제4절 소결: 추진 실적에 대한 내용분석 관련 논의
[Ⅳ. 고령소비자교육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전문강사 의견 수렴]
제1절 전문강사 대상 개방형 의견조사의 개요
제2절 전문강사 대상 개방형 의견조사의 분석 결과
제3절 소결: 전문강사 의견 수렴 결과에 대한 논의
[Ⅴ. 결론]
제1절 결과 요약
제2절 고령자 대상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제3절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붙임]
[Executive Summary]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