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서론: ‘봉준호 장르’에서 크로노토프의 역할과 기능
2. ‘길의 크로노토프’에서의 서사전략
3. ‘살롱의 크로노토프’에서의 서사전략
4. 결론: 한국적 장르영화 탄생의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몽타주 미학에 기초한 연극적 크로노토프의 이론적 분석틀
한국연극학
2019 .01
거리극 《미라클-2010》의 시·공간 통합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바흐친의 ‘크로노토프(chronotope)’ 개념을 중심으로-
연극교육연구
2020 .01
중간점(Mid Point)에서 장르가 전환되는 영화의 시드 필드 패러다임 연구 -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2021 .06
Parasite Forges New Paradigm on Transnational and National Cinema Intersection
현대영화연구
2020 .01
봉준호 영화의 장르 연구 :〈살인의 추억〉과〈괴물〉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2 .12
모더니즘 미학과 바흐친 크로노토프의 변증을 통한 전시연출 표현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5 .01
크로노토프 개념에서 본 매체성에 대하여 - 올라퍼 엘리아슨, 아니쉬 카푸어, 히로시 스기모토 작품에 있어서 지각과 기억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9 .10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난 역설적 한(恨)의공간학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20 .01
〈기생충〉의 신파성과 글로벌 한류 콘텐츠로서의 성과
한국예술연구
2021 .06
Parasit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18 .11
한국형 액션영화의 장르 형성 과정 연구: 스토리텔링 전략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20 .01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을 위한 가상융합세계 체험공간] CHRONOTOPE : 시공간, 그 너머의 세상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1
전시공간에서의 크로노토프적 장면해석의 특성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5 .01
장르로서의 예술영화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5 .06
〈버닝〉과 〈기생충〉의 비교 연구: 청년, 계급, 가족, 살인이라는 공통의 키워드
영화연구
2022 .03
장르영화로서의 주선율: 내러티브 체계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5 .03
영화콘텐츠에 사용된 기호학의 분석 연구 -봉준호 감독의 영화 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5 .12
한국 영화 속 건축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1 .04
그 나라에서는 어떤 장르 영화가 잘 되나요?
[KOFIC] 한국영화
2023 .07
한국 사회문제영화의 특징과 의미 : 현실정치의 패배감에 대응하는 제의로서의 장르 - 2011∼2013년의 영화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