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 양상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의 타당화는 문헌 고찰, 예비문항 개발, 예비 검사, 검사도구 시안 개발, 본검사, 자료수집, 1차 타당도 검증, 2차 타당도 검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시안의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11개 문항 중 지식 이해 문항과 외양-실제 이해 문항이 부적합 문항으로 판단되어, 두 문항을 제외한 최종 9개 문항을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최종안으로 확정하였다. 둘째,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피험자의 수준과 문항의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는 정규분포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문항들의 일차원성이 검증되었으며, 검사 도구의 문항들이 문항반응곡선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모든 문항이 성별 집단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는 각 문항의 난이도가 동일하게 재현되고, 측정 도구 내에서 각 문항의 차이를 잘 정의하고 있는 신뢰로운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최종안은 개발과 타당화의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초기 마음이론 3문항, 표상적 마음이론 3문항, 실용적 마음이론 3문항, 총 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검사 도구로 확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ory of Mind Measures for Young Children that can measure children'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literature review, development of preliminary items, preliminary study, development of draft proposal, main study, valid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content aspect, knowledge and real-appearance understanding item were judged to be unfit items among the 11 questions, and so a final version of the scale included only 9 items. Secon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substantive aspect, the person-item map showed relatively even normal distribu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aspect,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final draft was verified, and the items in the scale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item characteristic curve. For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aspect, none of the 9 items functioned differently by gender. Fifth,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he final draft was verified to be a reliable tool in which the items have equal amount of difficulty in answering the questions and well define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item within the measurement tool. In conclusion, the final version of Theory of Mind Measures for Young Children was confirm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that consists of 9 items, including 3 initial theory of mind, 3 representational theory of mind, and 3 practical theory of 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