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와카 표현과 공간 -『만요슈』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21 .08
와카세계를 통해 본 일본 헤이안시대 연애풍류 -헤이안시대 중기작품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19 .01
고보리 엔슈(小堀遠州) 편지에 나타난 와카 분석
일본연구
2021 .08
「防人歌(사□모리노우다)」연구 : 비교의 관점에서 바라본 와카 번역사적 위치
일본문화학보
2015 .11
쇼군 무네타카 친왕(宗尊親王)의 인생역정과 와카 작의의 상관관계 고찰 - 『쥬쇼오교에이(中書王御詠)』의 의의와 영향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1 .11
노 이론서의 와카십체 수용양태 연구 : 젠치쿠(禅竹)의 『고온산쿄쿠슈(五音三曲集)』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7 .10
와카 번역사적 위치 - 『선역애국백인일수』 -
동아시아고대학
2015 .01
미나모토노 시타고(源順) 언어유희의 작품세
동아시아고대학
2017 .01
『源氏物語』の韓国語訳の比較検討―2010年以降を中心に―
日本學硏究
2022 .09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동양학
2022 .07
『文集百首』에 나타난 데이카의 와카 연구 ―한시 수용을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20 .01
근대의 우타카이하지메(歌会始)와 칙제(勅題) 문예 -일제강점기 일본인 발행 신문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9 .08
와카와 하이쿠에 나타난 ‘여치’와 ‘귀뚜라미’ - 명칭의 혼동과 시상(詩想)의 혼란 -
일본연구
2022 .06
『가게로닛키』의 자연(2) - 달과 이슬 -
일어일문학
2020 .02
『이즈미시키부닛키』의 달
일어일문학
2022 .11
팔대집(八代集)에 나타난 불교 사상과 ‘물(水)’의 이미지
일본연구
2018 .01
고보리 엔슈의 차회기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 데이카와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5 .07
한·일 궁정문학의 문예사적 의미 -헤이안 시대의 와카와 조선의 궁녀 한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22 .09
能因撰『玄々集』における撰歌意識に関する一考察 – 少数撰入歌人を中心に –
일본연구
2020 .01
향목(香木)과 와카(和歌)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