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日本學硏究 日本學硏究 제60권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95 - 116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모노가타리(物語)의 와카(和歌)는 당시의 풍속으로서의 와카 생활의 반영이기도 한 동시에, 작품 형성의 지향성을 가지고 모노가타리의 주요 장면에서 언어의 표현력에 기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방법 의식에 의해 정위된다. 지금까지 작중와카에 관한 연구는 주로 표현론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와카가 지닌 효용(노래의 덕)이라는 관점에서 모노가타리의 작중와카를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타모노가타리(歌物語)를 중심으로 한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이전 작품과 󰡔겐지 모노가타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남녀 교류의 양상을 중심으로 증답(贈答) 장면을 분석해 보았다. <노래의 덕> 즉 와카 덕분에 지은 죄를 용서받는다는 이야기는 설화와 칙찬집 등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가덕설화(歌徳説話)>란 현실에서 읊어진 노래에, 그 노래가 가져온 <덕>이 비현실적 요소로서 추가됨으로써 생겨난 <설화>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 <가덕>과 <가덕설화>를 따로 다룬 이유이기도 하다. 분석의 결과, 󰡔고킨슈(古今集)󰡕「가나 서문(仮名序)」이 선언한 <와카의 덕> 즉 와카의 힘에 대한 믿음은 우타모노가타리에서 특히 전형적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으며, 󰡔겐지 모노가타리󰡕의 경우에는 주요 여성인물들이 지닌 개성이 그들이 읊은 와카에도 잘 드러나 있었다. 즉 <가덕><가덕설화>의 전형적 패턴인 ‘훌륭한 와카를 읊어 승진을 하고 처벌을 면한다’는 식의 이야기가 아니라 모노가타리의 전개방향을 반영한 와카 증답이 다채롭게 이루어지고 있고, 와카가 인물들 간의 관계의 복잡미묘한 흐름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